경복흥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수시중, 수성도통사, 청원부원군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정렬(貞烈)
이칭
경천흥(慶復興),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80년(우왕 6)
본관
청주
주요 관직
서북면원수|수시중|수성도통사|청원부원군
관련 사건
홍건적의 침입|최유의 반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수시중, 수성도통사, 청원부원군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청주(淸州). 초명은 경천흥(慶千興). 아버지는 우대언(右代言) 경사만(慶斯萬)이다. 아들로는 경보(慶補) · 경진(慶臻) · 경의(慶儀)가 있다

생애와 활동사항

벼슬을 여러 번 옮겨 감찰(監察) · 장령(掌令)이 되었고, 1354년(공민왕 3)에는 군부판서(軍簿判書)가 되었다. 1356년에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 다시 참지문하정사(參知門下政事)가 되었다. 이듬해 지문하정사(知門下政事)를 거쳐 지정사상의(知政事商議)에 올랐다. 이때 왜구의 침입이 잦아지고 북방의 정세도 불안정해지자 도성수축(都城修築)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는데, 경복흥(慶復興)은 정세운(鄭世雲) · 유숙(柳淑) 등과 함께 백성의 피폐를 이유로 반대하여 논의를 중단시켰다.

1358년에 참지문하정사가 되었으며 뒤이어 참지정사로서 서경군민만호부만호(西京軍民萬戶府萬戶)를 겸하고 다시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가 되어 북방을 방어하였다. 1359년(공민왕 8)에는 기철(奇轍) 등 부원파(附元派) 일당을 숙청한 공로로 1등공신에 봉해졌다.

이해에 홍건적이 침입하자 서북면원수(西北面元帥)가 되었고 뒤이어 부원수(副元帥)가 되어 안주(安州)에 진을 쳤으나 적을 두려워하여 진격하지 못했다. 왕이 노하여 군법으로 다스리고자 했으나, “장략(將略)이 없는 사람을 장수로 삼은 것은 등용한 사람의 잘못입니다.”라는 홍언박(洪彦博)의 두둔으로 무사하였다.

이듬해 홍건적을 물리친 공으로 진충동덕협보공신(盡忠同德協輔功臣)의 호를 받았으며 뒤이어 평장사(平章事) ·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올랐다. 1361년에 다시 홍건적이 침입하자, 왕을 호종(扈從)하여 복주(福州: 현재 경상북도 안동)로 난을 피했다. 1363년(공민왕 12) 홍건적을 격퇴한 공과 왕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이 되었다. 그해 12월, 최유(崔濡)가 원나라에 있으면서 공민왕을 참소해 폐위시키고 덕흥군(德興君)을 내세워 요양(遼陽)의 군사를 이끌고 고려로 쳐들어오자 서북면도원수(西北面都元帥)가 되어 안주에 진을 쳤다.

이듬해 정월 최유가 군사 1만으로 압록강을 건너 의주(義州)를 포위하고 다시 선주(宣州: 현재 평안북도 선천)에 이르렀으나, 최영(崔瑩) · 이성계(李成桂) 등이 이들을 정주(定州)의 달천(㺚川)에서 무찔렀다. 경복흥이 이러한 첩보를 왕에게 알리자, 왕은 크게 기뻐해 좌시중(左侍中)에 임명했다.

1365년(공민왕 14)에 수시중(守侍中)이 되었으나, 신돈(辛旽)이 권세를 부리고 있었으므로 재상의 지위에 있으면서도 정사에 참여하지 못하였다. 마침내 신돈의 배척을 받아 파직되고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367년 오인택(吳仁澤) · 안우경(安遇慶) · 김원명(金元命) 등과 함께 신돈을 제거하려다가 일이 누설되어, 장형(杖刑)을 받고 흥주(興州: 현재 경상북도 영주)로 귀양 가게 되었다.

1371년 신돈이 제거되자 다시 소환되어 좌시중에 임명되었고, 정방(政房)의 제조(提調)를 겸하며 전선(銓選)을 맡았다. 1374년(공민왕 23) 문하시중으로 있을 때, 공민왕이 시해되자 종친을 세우려 했으나 이인임(李仁任)의 주장으로 우왕(禑王)이 즉위하였다. 이듬해 이인임과 함께 원나라 사신의 영접을 반대하는 정도전(鄭道傳)을 귀양 보냈다. 또, 왕이 서연(書筵)을 게을리 하려는 것과 전주(銓注: 인사행정)의 문란을 바로잡는 데 노력하였다. 1377년(우왕 3)에 수성도통사(守城都統使)로서 개성 근처까지 침범한 왜구에 대비하였다.

이인임 · 지윤(池奫) 등이 권력을 휘두르자 날마다 술만 마시면서 도당(都堂)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1380년 이인임 · 임견미(林堅味)가 경복흥이 정무를 보지 않는다고 참소하여 청주로 귀양 갔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정렬(貞烈)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