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배 ()

매곡사
매곡사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성균관박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광원(光元)
매하(梅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7년(헌종 13)
사망 연도
1910년(순종 3)
본관
김해(金海)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정의
조선 후기에, 성균관박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광원(光元), 호는 매하(梅下).  전라북도 익산 출신. 김현교(金顯敎)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66년 병인양요를 당하여 아직 약관의 나이로 토적의거격문(討賊義擧檄文)을 지어 상소하였다.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가 되어 문명을 떨치다가,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고 국권을 박탈하자 사임하고 낙향하여 청장년들에게 훈육을 통하여 항일독립정신을 고취하였다.

1910년 8월 일제가 한국을 병탄한 뒤 헌병주재소장을 통하여 김근배를 회유하기 위한 은사금(恩賜金)을 보내자 온갖 위협에도 불구하고 이를 거절하였으며, 앞으로 수없는 곤욕이 있을 것을 예견하여 죽음으로써 충절을 지키겠다는 유서를 남기고 우물에 투신, 순절하였다.

상훈과 추모

사당으로는 아들 김종호(金種昊)가 1931년 건립한 매곡사(梅谷祠)가 있다. 1963년 대통령표창,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기려수필(騎驢隨筆)』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7(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용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