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학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이토 히로부미 암살 계획이 실패한 후 자결한 의병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1년(고종 8)
사망 연도
1905년(고종 42)
출생지
황해도 황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한제국기 때, 이토 히로부미 암살 계획이 실패한 후 자결한 의병 ·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황해도 황주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명성황후 시해 만행이 일어나자 김하락(金河洛)의 휘하로 경기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제2대십장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군대에 입대하여 평양진위대(平壤鎭衛隊)에서 상등병(上等兵)으로 근무하다가 부대가 서울로 소환되어 시위대 제3대대 제2중대에 배속되었다.

1905년 11월 일제가 무력으로 위협하여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국권을 박탈하고 민영환(閔泳煥)·조병세(趙秉世) 등이 자결로써 항거하니 김봉학은 흐느껴 울면서, “대대로 녹을 먹던 신하로서 순국함은 당연하며, 나 또한 군인으로서 6년이나 지내면서 나라를 지키지 못했으니 원수인 왜놈을 죽이고 나도 죽겠다.”고 하였다.

동지들과 모의하여 일제의 한국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처단할 계책을 짜고 있다가 일이 누설되어 실패하게 되자,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였다. 비서원승(秘書院丞)에 추증되었으며, 고향에 정문이 세워졌다.

상훈과 추모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기려수필(騎驢隨筆)』
『한국통사(韓國痛史)』(박은식, 대동편역국, 1915)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집필자
신용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