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룡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낙선당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광서(光瑞)
낙선(樂善)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2년(숙종 18)
사망 연도
1742년(영조 18)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낙선당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광서(光瑞). 호는 낙선(樂善).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추증된 김진남(金振南), 어머니는 연일정씨(延日鄭氏)로 통덕랑(通德郞) 정발(鄭勃)의 딸이며, 뒤에 통덕랑 김진호(金振護)에게 입양되었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재주가 남달리 뛰어나서 13, 4세에 경사(經史)를 섭렵하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통달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생가와 양가의 부모상(父母喪)을 예를 다하여 치루었고, 경(敬)을 실천하는 수신의 학문에 힘을 썼다.

당쟁으로 정치가 자주 뒤바뀌면서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당하는 것을 보고 벼슬에 나갈 것을 포기하고 학문에만 열중하면서 후진의 지도에 힘썼다. 물망어(勿妄語) 물망동(勿妄動)을 좌우명으로 삼아 근신에 노력하고 서지숙(徐持叔)과 이여후(李汝厚)가 마음을 돌려 벼슬에 나갈 것을 권유했으나 듣지 않았다.

한원진(韓元震) 등과 학문을 연마하고 도의로 교유하였으며 스승이 오륜잠(五倫箴)을 지어준 일이 있다. 송시열(宋時烈)과 송준길(宋浚吉)의 문묘(文廟) 종사를 요청하였고, 진덕수(眞德秀)와 사방득(謝枋得)·김사백(金斯百)의 예에 따라 『고문집요(古文輯要)』 8권을 편찬했으며, 성리학은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到說)에 따랐다. 저서로는 『낙선당집(樂善堂集)』 2권이 있다.

참고문헌

『낙선당집(樂善堂集)』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