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환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통사문답」, 「중국학통」, 『용암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사인(士仁)
용암(勇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24년(순조 24)
사망 연도
1883년(고종 20)
본관
고성(固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통사문답」, 「중국학통」, 『용암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사인(士仁). 호는 용암(勇菴). 아버지는 김낙성(金樂聲), 어머니는 광주정씨(光州鄭氏)로 정희원(鄭喜元)의 딸이다. 처음 박완진(朴琓鎭)에게 글을 배웠고, 뒤에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문장이 뛰어났으나 세월이 어지러워지자 과거에 응시하지 않고 오직 경사(經史) 연구에 몰두했다. 효성이 지극하여 어머니의 병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끊어 소생시켰다. 외국의 문물이 들어옴을 싫어하여 가까이하지 않았고, 서학(西學)을 사학(邪學)이라 규정하여 척사운동을 벌였다.

역사에 대한 바른 지식을 알리기 위해 「통사문답(通史問答)」을 지어서 교육했고 유학의 계통을 밝히고자 「중국학통(中國學統)」을 지었다.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과 순자(筍子)의 성악설(性惡說)을 대비하여 비판한 「성설(性說)」이 있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이이(李珥)의 이기일원론(理氣一元論)의 입장을 지지했다. 학행이 알려져서 1904년 중학교관(中學校官)에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용암집(勇菴集)』 7권이 있다.

참고문헌

『용암집(勇菴集)』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