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관 ()

유교
인물
조선 중기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의성향교에서 후진 양성에 힘쓰며, 『역락재집』을 저술한 학자.
이칭
이율(而栗)
역락재(亦樂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9년(선조 2)
사망 연도
1661년(현종 2)
본관
의성(義城)
출생지
경상북도 포항시
주요 관직
향교훈장
관련 사건
임진왜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의성향교에서 후진 양성에 힘쓰며, 『역락재집』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이율(而栗), 호는 역락재(亦樂齋). 의성 가사리(佳士里)에서 출생. 아버지는 참봉 김응주(金應周),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참봉 남세기(南世期)의 딸이다.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문장이 조숙하여 남의 칭찬을 받았으나 실천하는 학문을 하고자 애친과 경장을 실천의 강령으로 삼았다. 효성이 지극하여 양친을 잘 섬겼고, 상을 당해서는 시묘를 지성껏 했다. 1589년(선조 22) 남산 아래 서사를 짓고 지방의 선비들을 모아 역(易)·예기(禮記)를 강의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는 격문을 사방에 보내서 의병과 군량을 모집하여 남산에 보(堡)를 쌓아 적의 침공을 막았다. 격문을 보고 모여드는 의군이 늘어나자 동생인 김치중(金致中)을 시켜 적라산(赤羅山)으로 분대하여 수호하고 적의 대군이 밀려오자 격전을 벌려 공을 세웠으나 김치중은 전사했다.

전쟁이 끝난 뒤에 장현광(張顯光)을 따라 강소에서 학문을 강론하였고, 장현광이 의성군수가 되어서는 향교의 훈장이 되었다. 병암정사(屛巖精舍)를 지었고, 『문소지(聞韶誌)』를 편찬하였다.

1650년(효종 1) 수직으로 통정대부에 올랐고, 1653년에 부호군(副護軍)에 올랐다. 성리학에 있어서는 이황(李滉)의 이기이원론의 입장을 고수하였으며, 저서로는 『역락재집(亦樂齋集)』이 있다.

참고문헌

『역락재집(亦樂齋集)』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