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배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에 있는 섬.
지명/자연지명
면적
0.99㎢
둘레
5.5㎞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나배도(羅拜島)는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에 있는 섬이다. 진도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주변에 상조도 및 하조도가 위치하고 있어 나배대교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산성화산암류의 지질이 주로 나타나며, 산줄기가 섬의 북부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남쪽 해안을 중심으로 취락 및 항구가 발달하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되어 있어 수려한 경관이 나타난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나배도리에 있는 섬.
내용

나배도(羅拜島)는 동경 126°00′, 북위 34°17′에 위치한 섬으로, 섬 동쪽 끝에서 하조도까지 0.3㎞ 떨어져 있다. 섬의 서쪽에는 관사도(觀沙島), 서남쪽에는 소마도(小馬島), 남쪽에는 모도(茅島), 남동쪽에는 소라배도(小羅拜島)가 있다. 면적은 0.99㎢이고, 해안선 길이는 5.5㎞이다. 섬의 모양이 고양이를 닮았다 하여 고양이를 일컫는 사투리인 ‘나비섬’, ‘나부섬’, ‘나배섬’, ‘나부도’ 등으로 부르다가, 1914년부터 ‘나배도’로 불리기 시작하였다.

지질은 대부분 산성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최고 높이 주1로 형성되어 있다. 산줄기가 섬의 북쪽에서 동서로 이어지므로 남쪽에는 주2가 일부 분포한다. 해안은 사빈 주3이 대부분이고 남쪽 해안 일대에 비교적 큰 주4이 발달해 있다. 섬의 서쪽 끝에는 물치끝이라는 새부리처럼 생긴 주5가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0.6℃, 8월 평균 기온은 22.4℃이고, 연 강수량은 1,019㎜이다. 나배도는 비 또는 안개와 흐린 날이 210여 일로 아주 많은 편이다.

현황

나배도에는 1529년(중종 24)경부터 사람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62명(남 23명, 여 39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40세대이다. 취락은 남쪽 해안의 선착장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 0.02㎢, 밭 0.25㎢, 임야 0.64㎢로 나타난다. 주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다. 주요 농산물은 쌀과 보리를 비롯하여 감자 · 유채 · 두류 · 마늘 · 고추 · 무 등이 생산되었으나, 현재 논 밭농사는 짓지 않는다. 근해에는 좋은 어장이 형성되어 있어 장어 등이 잡히며, 미역과 전복 등도 채취한다.

나배도의 인근 해역은 양식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굴 · 바지락 · 고막 · 김 · 톳 등의 양식장이 발달해 있다. 특히 톳과 돌김이 나배도의 특산물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조기잡이를 할 때에 행하던 닻배놀이의 노랫가락이 전해오고 있다. 나배도의 교통은 섬 남쪽의 나배항에서 주변 관사도의 관사항, 상조도의 율목항, 하조도의 창유항과 연결된다. 또한, 나배대교 건설로 상조도 및 하조도와 연결되어 있다.

참고문헌

나배도

『도서지』 (내무부, 1985)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진도군지』 (진도군, 2007)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진도통계연보』 (진도군, 2021)

인터넷 자료

해양수산부 연안포털(https://coast.mof.go.kr/)
주석
주1

평지와 산지의 중간 성격을 가지는, 별로 높지 않은 언덕들이 있는 땅. 우리말샘

주2

기울기가 가파르지 않은 땅. 우리말샘

주3

모래가 많이 퇴적한 해안 지형. 파도의 작용에 의하여 바닷가에 형성되며, 이 뒤로는 해안 사구가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4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듦. 우리말샘

주5

물속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