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분지 (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구례군 일대에 형성된 분지.
지명/자연지명
규모
장축 10㎞, 단축 4㎞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구례 분지는 전라남도 구례군 일대에 형성된 분지이다. 구례 분지는 구례군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서시천 주변을 따라 발달한 평지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례 분지의 주변으로 지리산의 주봉 중 하나인 노고단을 비롯한 높은 산지가 발달해 있으며, 지리산으로부터 공급된 퇴적물들이 선상지 형태로 퇴적되어 분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분지 내 대표적인 하천인 서시천은 구례 분지를 따라 흐르면서 남쪽에서 섬진강으로 유입한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일대에 형성된 분지.
내용

구례 분지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장축이 약 10㎞, 단축이 약 4㎞이다. 행정구역상 구례군의 대부분 읍면이 구례 분지에 일부 혹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 구례군 산동면 일대는 서시천 하도 주변에 발달한 평지를 중심으로, 구례읍 및 용방면은 동쪽의 평지를 중심으로, 광의면, 마산면은 서쪽의 평지를 중심으로 구례 분지에 포함되어 있으며, 토지면, 간전면, 문척면의 경우에도 섬진강 주변을 따라 발달한 평지로 구례 분지에 포함된다. 구례 분지는 주1 지대에 오랜 침식이 가해져 형성된 타원형 분지로 주로 서시천(西施川)을 따라 길게 뻗어 있다. 천의 동쪽에는 높은 지리산지에서 공급된 퇴적물이 쌓여 선상지들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분지의 남쪽에서 섬진강으로 들어간다.

분지는 비교적 폭이 넓은 서시천 하류의 분지와 좁은 곡저 주2로 이루어진 서시천 상류의 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례읍을 중심으로 형성된 서시천 하류의 분지는 분지저(盆地底)의 해발 고도가 50∼100m로 상류의 분지에 비하여 훨씬 낮다.

반면 산동면 일대에 형성된 서시천 상류의 분지는 분지저의 해발 고도가 최고 200m 내외로 하류의 분지에 비하여 훨씬 높다. 대부분의 경우 구례 분지라고 하면 서시천 하류의 넓은 분지를 의미한다.

분지의 동쪽에는 지리산 3대 주봉의 하나인 노고단(老姑壇, 1,502m)을 비롯한 고봉들이 가파르게 솟아 있고, 북쪽에는 만복대(萬福臺, 1,433m) · 견두산(犬頭山, 주3 등이 나타난다. 또한 서쪽에는 천마산(天馬山, 주4 · 깃대봉(691m) · 형제봉(兄弟峰, 622m) · 국사봉(國師峰, 523m) 등 500∼700m의 봉우리들이 이어지고, 남쪽에는 봉두산(鳳頭山, 753m) · 계족산(鷄足山, 703) 등이 둘러싸고 있다.

분지 주변의 산지 발달에 따라서 서시천이 산동면에서 발원하여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상류 구간을 이루며 흐르다가, 용방면과의 경계부에서 북북서-남남동 방향으로 바뀌어 중~하류 구간을 흐른다, 서시천은 구례읍이나 곡성군에서부터 흘러들어 주5주6의 경계를 흐르며 협곡을 이루고 하동군과 광양시의 경계로 흘러나가는 섬진강으로 합류한다.

구례는 밤 · 대추 · 표고버섯 · 벌꿀의 생산량이 많고, 산수유 · 오미자 · 생지황 · 당귀 등의 생약재가 특산물로 꼽힌다. 특히 구례 산수유는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져

화엄사주7 · 주8 등의 사찰과 지리산 국립공원을 끼고 있어 연중 관광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한편 산동면 좌사리와 관산리 일대가 1987년에 지리산 온천지구로 지정되면서 많은 관광시설이 들어서 있다.

구례 분지는 주변으로 산지가 높게 발달해 있어 교통이 편리하지는 않으나, 서시천 및 섬진강을 따라 19번 국도를 비롯한 도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순천완주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교통 여건이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혁재, 『한국지리: 각 지방의 자연과 생활』 (법문사, 1995)
『구례군지』 (구례군, 2005)

인터넷 자료

구례군청(https://gurye.go.kr/)
주석
주1

수성암 또는 화성암이 땅 밑 깊은 곳에서 온도, 압력 따위의 영향이나 화학적 작용을 받아 변질하여 이루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2

골짜기 밑에 발달한 평야. 골짜기 안을 흐르는 하천의 침식 또는 퇴적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3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의 경계에 있는 산. 문화재로 견두산 마애여래 입상(犬頭山磨崖如來立像)이 있다. 높이는 775미터. 우리말샘

주4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에 있는 산. 구례군 산동면과 곡성군 구달면과의 경계에 있다. 높이는 656미터. 우리말샘

주5

전라남도 구례군 동쪽에 있는 면. 면의 동북쪽에 지리산이 자리해 있으며, 대부분이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섬진강이 면의 남쪽 경계를 이루며 흐른다. 문화재로 구례 연곡사 동승탑, 구례 연곡사 북승탑, 구례 석주관성 등이 있다. 2020년 전라남도 구례군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96.7㎢. 우리말샘

주6

전라남도 구례군에 있는 면. 대부분이 산간 지대이며, 섬진강이 면의 북쪽 경계를 이루며 흐른다. 서쪽에는 간문천이 흐르며, 그 주변으로 벼농사가 활발하다. 특산물로 고사리, 취나물, 밤 등이 나며, 관광지로는 용지동 계곡, 섬진강 어류 생태관 등이 있다. 2020년 전라남도 구례군청 누리집을 기준으로 면적은 74.7㎢. 우리말샘

주7

전라남도 구례군 지리산에 있는 절. 백제 성왕 22년(544)에 연기 대사(緣起大師)가 창건하였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9교구 본사로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8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에 있는 절. 신라 흥덕왕 3년(828)에 범승(梵僧) 덕운(德雲) 조사가 창건하고 헌강왕 원년(875)에 지눌이 증축하였다. 임진왜란 때에 소실(燒失)되었다가, 조선 영조 51년(1775)에 재건되었다. 창건할 당시에는 ‘감로사’라 하였다가 조선 시대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