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칠봉 ()

자연지리
지명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산(山).
지명/자연지명
높이
1,178m
소재지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두길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거칠봉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산이다. 해발고도는 1,178m이며, 주변의 삼봉산, 선인봉과 능선으로 이어져 높은 산줄기를 이루고 있다. 거칠봉과 주변의 산지들은 덕유산국립공원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원당천 및 무주구천동 계곡이 위치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에 있는 산(山).
개설

소백산맥(小白山脈)에 속하는 거칠봉은 높이 1,178m로, 무풍장(茂豊場)의 서쪽 및 덕유산 국립공원의 북쪽에 위치한다.

명칭 유래

두길리 벌한마을 서쪽에 위치하며 일곱 신선(神仙)이 있던 곳이라 하여 거칠봉이라고 하였다.

자연환경

거칠봉이 위치한 무주군 설쳔면 일대는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일대를 중심으로 한 진안고원덕유산을 중심으로 하여 산지가 발달하였으며, 덕유산 국립공원의 북쪽 산지를 이루고 있다. 거칠봉은 삼봉산, 선인봉과 능선으로 이어져 산줄기를 이룬다. 거칠봉 주변으로 무주 남대천으로 합류하는 원당천이 흐르고 있으며, 무주 구천동이라 불리는 기반암이 드러난 주1의 계곡이 발달하고 있다.

무주 지역의 기후를 살펴보면, 지난 30년간(1971∼2000)의 기후요소별 월 평균값은 평균기온 11.5℃, 최고기온 평균은 18.2℃, 최저기온 평균은 5.7℃이고, 강수량은 1265.9㎜로 7월과 8월에 집중되어 있다. 풍속은 1.3m/sec 이다.

형성 및 변천

덕유산 지역의 주요 지질은 선캄브리아기(期) 변성암류(變成巖類)를 기반으로 하여 이를 관입한 주2화성암류(火成巖類)가 주를 이룬다. 거칠봉이 위치한 지역은 신라통의 화산작용에 의한 분출암인 중성 화산암류가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곳이다.

현황

거칠봉은 덕유산 국립공원에 속하는데, 서쪽 계곡에는 무주 구천동에서 흘러내린 원당천(元唐川)이 흐르며, 북서사면에 있는 일사대(一士臺), 일명 수성대(水城臺)는 주변의 수목과 절벽 아래를 흐르는 계류와 더불어 절경을 이루어 구천동 3대 경승지의 하나로 꼽힌다. 또, 반석 위에는 한말의 학자 송병선(宋秉璿)이 국가가 어지러움을 개탄하여 은둔 · 소요하며 지은 서벽정(棲碧亭)이 있다.

거칠봉이 위치한 덕유산 국립공원은 해발고도 1,614m의 덕유산을 중심으로 한 국립공원으로,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위치한 덕유산은 1975년 1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전북 무주군과 장수군, 경남 거창군함양군 등 영호남을 아우르는 4개 군에 걸쳐 있으며, 총 229.43㎢의 면적이 공원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덕유산은 남한에서 네 번째로 높은 산(향적봉 1,614m)으로 주3 생태계의 보존가치 또한 높으며, 북쪽으로 흘러가는 금강과 동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수원지이기도 하다.

거칠봉이 위치한 무주군은 경상남북도, 전라북도, 충청남북도 등 5개도의 6개 시 · 군이 함께 만나는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교통이 불편하였으나 국토의 남북축을 형성하는 대전 · 통영간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무주를 관통함으로 서울, 부산 등 전국 어디서나 2시간 대에 도달할 수 있는 접근성을 갖추게 된 내륙 교통의 중심지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덕유산(德裕山)의 정기(精氣)』(무주군, 1983)
『전라북도지(全羅北道誌)』(전라북도, 1989)
『무주군지』(무주군, 2003)
『덕유산국립공원(德裕山國立公園) 전설(傳說)·지명(地名)·유래(由來)이야기』(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 2008)

인터넷 자료

무주군청(https://muju.go.kr/)
국립공원공단(https://www.knps.or.kr/)
주석
주1

모양이 독특하고 이상한 바위와 돌. 우리말샘

주2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3

온대의 산악을 기준으로 하여 이루어진 식물의 수직 분포대. 해발 1,500~2,500미터의 지대로 고산대와 저산대의 사이에 있으며, 저온 건조하여 침엽수가 많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