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홍기창 가옥 ( )

목차
관련 정보
나주 홍기창 가옥 안채 정면
나주 홍기창 가옥 안채 정면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나주홍기창가옥(羅州洪起昌家屋)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전라남도
종목
전라남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6년 02월 07일 지정)
소재지
전남 나주시 다도면 동력길 20 (풍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일제강점기 풍산홍씨 관련 주택.
내용

1986년 전라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주택이 위치한 도래마을은 풍산 홍씨의 동성부락으로, 마을 전체의 경관구조가 아름다운 곳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정자와 연못이 있고 정자입구의 2층 효자문은 독특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도래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는 이 가옥은 홍기응 가옥의 북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원래 사랑채, 행랑채도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안채만 남아 있다. 최근에 안마당 건너편에 아래채를 신축하였으나 한식기와를 사용하지 않아서 옛스러운 맛은 많이 상실되었다. 안채 상량문에 “세재 무오 구월 초육일…(歲在 戊午 九月 初六日)”이라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1918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북서-남동 방향으로 길다란 대지의 깊숙한 안쪽에 서향에 가까운 북서향으로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북서쪽 담장에 달린 철대문을 통해 대지로 들어서면 예전에 사랑채가 있었다는 넓은 마당이 있다. 이곳과 안마당을 구획하는 담장 가운데쯤에 있는 중문을 지나 안마당으로 들어가게 된다.

안채는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에 전ㆍ우퇴를 하고 있다. 측면 2칸에서 후열은 전열에 비해 기둥 간격이 좁다. 건물의 좌측, 즉 북쪽부터 실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열에는 부엌방ㆍ정지ㆍ안방ㆍ2칸의 대청ㆍ건너방이 있다. 부엌방 뒤쪽에는 근래에 새로 고친 현대식 욕실이 있고, 정지 뒤쪽에는 반칸 정도의 고방이 있다. 안방 뒤쪽에는 2짝 미닫이문을 사이에 두고 뒷방이 있는데 정지 뒤의 고방과 연결되어 있다. 2칸의 대청 뒤쪽은 마루방이 있는데 현재는 입식부엌으로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건너방은 앞뒤방향으로 1칸 반을 터서 방을 크게 쓰고 있고, 뒤쪽으로는 상부 벽장, 하부 함실아궁이의 구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부엌방과 정지의 전퇴는 각각 실내로 포함시켜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부분의 전퇴는 우물마루를 설치하였다. 우퇴의 전열은 툇마루로, 후열은 4척(尺) 높이의 반침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예전에 뒤주로 쓰였다고 한다. 건물의 왼쪽에는 동바리마루 형태의 툇마루가 있는데 부엌방의 왼쪽부터 앞쪽까지를 ㄱ자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툇마루의 뒤쪽으로는 같은 폭으로 실내공간이 넓혀졌다. 욕실ㆍ정지ㆍ고방의 뒤쪽은 반칸 폭으로 각각 공간을 확장하였고, 뒷방 뒤쪽은 역시 반칸 폭으로 동바리마루 형태의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세벌대 높이로 기단을 쌓았는데 아래쪽은 자연석으로 쌓았고 장대석을 갑석 삼아 마감하였고 막돌초석을 두었다. 전면과 우측면, 안방과 대청 뒷벽의 일부는 원형기둥을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사용하였다. 2고주 7량의 구조이며 기둥 상부에 창방을 보내고 소로를 끼운 후 장혀를 가로질러 8각의 도리를 받쳤다. 홑처마를 사용한 팔작지붕 건물이다.

근래 신축한 행랑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에 전퇴를 갖고 있는 3칸의 초가집이다. 가운데칸의 전면에만 툇마루를 두고 양쪽칸은 실내로 포함시켰다.

참고문헌

『나주시문화재도록』(나주시, 2000)
『나주시(羅州市)의 문화유적(文化遺蹟)』(국립목포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나주시, 1999)
『전남(全南)의 전통건축(傳統建築)』(천득염, 전남대학교박물관, 1999)
『문화재도록(文化財圖錄)』(전라남도, 199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