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빈가 ()

청구영언 / 낙빈가
청구영언 / 낙빈가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이칭
이칭
낙빈사, 강촌사, 강촌별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구성 및 형식

작품은 전체 51구로 되었으며, 3·4조 또는 4·4조의 형식이 주를 이루나 2·3조도 드물지 않다. 『청구영언』(大學本)과 가집 『잡가』·『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 등에 수록되어 있다. 사본에 따라서는 「낙빈사(樂貧詞)」·「강촌사(江村辭)」·「강촌별곡(江村別曲)」 등으로 불린다.

작자에 대해 『청구영언』에서는 이황(李滉) 또는 이이(李珥)로, 『잡가』에는 이이로 되어 있으나, 이것은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지봉유설』·『순오지(旬五志)』 등에 이 작품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영조와 정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작자는 이 작품에서 부귀공명을 버리고 산수에 파묻혀 빈한을 낙으로 삼아 세상일을 잊고 사는 생활의 풍미와 고절(高節)이 최상이라 하였다. 산천에서의 생활상과 풍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그 생활이 바로 태고적 생활이고, 허유(許由)·소보(巢父)의 삶과 같음을 읊었다.

자신이 이와 같이 사는 것은 사호(四皓)와 강태공(姜太公)·제갈량(諸葛亮) 등과 뜻이 같다고 노래하였다. 그리고 앞으로도 또한 그와 같은 생활로 여생을 마치리라 노래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벼슬길에서 은퇴한 관료가 산수에 파묻혀 안빈낙도하는 생활을 읊은 것으로, 강호가도계열(江湖歌道系列)의 작품이다. 안빈낙도를 내용으로 하는 다른 가사들과 같이 가난을 낙으로 삼는 ‘낙빈(樂貧)’, 자연을 사랑하는 ‘요산수(樂山水)’, 분수를 지킨다는 ‘안분(安分)’의 세 가지 주지(主旨)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가사작품으로는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 차천로(車天輅)의 「강촌별곡」, 작자 미상의 「환산별곡(還山別曲)」·「강호사시가」·「창랑곡(滄浪曲)」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사대부 사회에서 애송되었다.

참고문헌

『주해가사문학전집(註解歌詞文學全集)』(김성배 외 편, 집문당, 1981)
「낙빈가연구(樂貧歌硏究)」(강전섭, 『국어국문학』 71, 197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