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악집 ()

목차
불교
문헌
조선 후기의 승려, 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753년(영조 29) 제자 일영(日暎)·재초(在初)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병암(屛巖)의 서문이 있다. 권1·2에 오언절구 10수, 오언율시 6수, 칠언율시 61수, 서(序) 2편, 원장(原狀)·비명·문(文)·시(示) 각 1편씩이 있고, 권말에 방명(芳名)을 부기하였다.

원장에서는 저자의 법풍과 득법(得法)의 경위 등을 기술하고 있는데, 불교의 교리와 유교의 가르침은 궁극적으로 같다고 하는 등 당시의 삼교일치(三敎一致)의 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불교에서 말하는 “생각하지만 생각이 없고, 동하지만 동함이 없으며, 머뭄도 집착함도 없다(於念無念 於動無動 無住無着).”고 주장하는 무념설(無念說)을 『주역』의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꾀할 것인가(何思何慮)” 또는 『논어』에서 말하는 4무(四毋 : 毋意·毋必·毋固·毋我)와 대비시켜서 같이 이해하고 있다.

오언절구와 오언율시 사이에 2장의 낙장이 있고, 칠언율시 중간에도 1장이 빠져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