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으로 창을 내겠소 (으로 을 내겠소)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
현대문학
작품
김상용(金尙鎔)이 지은 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상용(金尙鎔)이 지은 시.
개설

작자를 대표하는 시로, 1934년 2월호 『문학(文學)』(통권 2호)에 「우리 길을 가고 또 갈까」 · 「자살풍경 스켓치」와 함께 발표되었고, 그 뒤에 시집 『망향(望鄕)』의 첫머리에 실렸다.

모두 3연 10행의 단형시로, 도시의 인위적인 생활과 허영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가 평화롭고 소박하게 살아가겠다는 소망을 노래하고 있다.

내용

첫 연은 농촌으로 돌아가 집을 짓되 남쪽으로 창을 내고, 약간의 전답을 마련하여 손수 농사를 짓겠다는 내용이고, 2연은 누구인가 화려한 도시 생활로 되돌아오라고 꾀어도 결코 돌아가지 않고 새 노래를 들으면서 살겠다는 내용이다. 끝의 3연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왜 이러한 곳에서 사느냐고 묻는다면 대답 대신 웃겠다는 내용이다.

의의와 평가

김상용의 경우, 이러한 친자연적 태도는 그 중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초기 시에서 보인 ‘죽음과 허무의식’에서 벗어나 관조적 시세계를 보이고 있다. 김상용의 이러한 전원회귀(田園回歸)의 친자연적 태도는 산문에도 빈번히 나타난다.

특히, 수필집 『무하선생방랑기(無何先生放浪記)』에서 “서울의 동(動)과 정(靜)이여, 서울의 추(醜)와 악(惡)이여, 요강 같은 존재들이여! 그 존재를 받쳐놓은 지린내나는 소반이여! 지금 나는 너의 소굴을 벗어나 정처없는 길을 떠날 때, 코를 풀어 네 앞에 던지는 것이다.”라고 한 작자의 태도는 『망향』에 수록한 시편 가운데 전원적 향토색을 띠는 시편들과 연관되고 있다.

이러한 친자연적 태도는 강냉이밭으로 둘러싸인 고향에 대한 향수로 나타난다. ‘강냉이’는 김상용의 향수와 긴밀한 관계로, ‘강냉이’를 통하여 고향을 환기하는 강렬한 연상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 연의 “왜 사냐건 웃지요”에서 ‘웃음’의 표면적인 의미는 ‘삶’에 대한 명확한 대답을 피하고 그저 웃어넘긴다는 것이다. 그 함의(含意)는 쉽사리 대답될 성질도 아니지만, 현실에 적극 참여하지 않고 살아가겠다는 인생 태도라 할 수밖에 없다.

작자가 이러한 전원회귀의 인생 태도를 가지게 된 외적 요인으로는 그 시대 우리 민족이 겪었던 수난과 한계상황이 지적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의 이해』(신경림·정희성, 진문출판사, 1981)
「무위자연과 삶의 시대적 자세」(문덕수, 『한국대표시평설』, 문학세계사, 1983)
「월파김상용론」(김학동, 『한국현대시인연구』, 민음사,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