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천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냉천유고
냉천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종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종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활자본. 1859년(철종 10)홍직필(洪直弼)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수에 조병덕(趙秉悳)의 서문이 있으나,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95수, 권2·3에 서(書) 76편, 권4에 명 1편, 기우문(祈雨文) 5편, 제문 5편, 고문(告文) 3편, 잡저 1편, 권5에 언행록(言行錄) 1편, 권6에 유사·행적(行蹟)·광지(壙誌) 각 1편, 권7에 부록으로 제문 3편, 애사·언행록·묘갈명 등이 있다.

서(書)는 주로 예(禮)에 관한 문답으로 예제(禮制)·축문(祝文)·고사(告辭)·사원건주(祠院建主) 등 예에 대하여 시행상의 의문점 등을 문답한 것으로, 근세 예의 발달과정과 그 절차 및 필요성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잡저의 「중용기의(中庸記疑)」는 『중용』에 관해 30여개의 항목을 뽑아 문답식으로 풀이한 것으로, 『중용』을 배우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한 것이다.

「언행록」은 그의 아버지 윤원(胤源)의 일상 언어와 행적을 낱낱이 기록한 것이다. 부록의 언행록은 그의 성격·학문·행적 등을 밝히고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