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경 ()

유교
인물
조선 전기에, 함양군수, 고령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양필(良弼)
동악(東岳)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광주(光州)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함양군수|고령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함양군수, 고령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光州). 자는 양필(良弼). 호는 동악(東岳). 아버지는 도염서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5년(세종 17) 식년정시(式年庭試)에 병과로 급제, 서승(署丞)이 되었고, 이듬 해 중시(重試)에 발탁되어 사간원에 들어갔다. 1464년(세조 10) 승(僧) 원각(圓覺)이 왕에게 아뢰어 도성 안에 절을 짓고, 또 왕을 청하여 황곡사(篁谷寺)에 가자 그 옳지 못함을 상주하여 원각을 참수시킨 일이 있었다. 권귀(權貴)의 미움을 사서 함양군수로 좌천되었다가, 다시 고령현감이 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학문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하였다. 창녕서원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동악고』가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