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영 ()

노자영(1898-1940)
노자영(1898-1940)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처녀의 화환』, 『내 혼이 불탈 때』, 『백공작』 등을 저술한 시인. 수필가.
이칭
이칭
춘성(春城)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고종 35)
사망 연도
1940년
출생지
황해도 장연|송화군(추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처녀의 화환』, 『내 혼이 불탈 때』, 『백공작』 등을 저술한 시인. 수필가.
생애 및 활동사항

호는 춘성(春城). 출생지는 황해도 장연(長淵) 또는 송화군(松禾郡)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정확한 것은 알 수가 없다.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고향의 양재학교에서 교편 생활을 한 적이 있으며, 1919년 상경하여 한성도서주식회사(漢城圖書株式會社)에 입사하였다. 이 때 『서울』 · 『학생』지의 기자로 있으면서 감상문 등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25년경 도일하여 니혼대학[日本大學]에서 수학하고 귀국하였으나 폐질환으로 5년간을 병석에서 보냈다. 오랜 병상에서 일어나 1934년 『신인문학(新人文學)』을 간행하였으나 자본 부족으로 중단하였다. 1935년에는 조선일보사 출판부에 입사하여 『조광(朝光)』지를 맡아 편집하였다. 1938년에는 기자 생활을 청산하고 청조사(靑鳥社)를 직접 경영한 바 있다.

작품 활동은 1919년 8월 『매일신보』에 「월하(月下)의 몽(夢)」이, 같은 해 11월에 「파몽(破夢)」 · 「낙목(落木)」 등이 계속 2등으로 당선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 뒤 1921년 『장미촌』, 1922년 『백조』 창간 동인으로 가담하여 『백조』 창간호에 시작 「객(客)」 · 「하늘의 향연(饗宴)」 · 「이별한 후에」를 발표하였고, 이어 『백조』 2호에 「우연애형(牛涎愛兄)에게」라는 수필을 발표하였다.

시 · 수필뿐만 아니라 1923년에는 소설 「반항(反抗)」을 출간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첫 시집 『처녀(處女)의 화환(花環)』을, 1928년에는 제2시집 『내 혼(魂)이 불탈 때』, 1938년에는 제3시집 『백공작(白孔雀)』을 간행하였다. 그의 시는 낭만적 감상주의로 일관되고 있으나 때로는 신선한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 산문에서도 소녀 취향의 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기타 저서로는 3권의 시집 외에 시극 · 감상문 · 기행문 등을 모은 『표박(漂泊)의 비탄(悲嘆)』(1925), 소설집 『무한애(無限愛)의 금상(金像)』(1929) · 『영원(永遠)의 몽상(夢想)』(1929), 수필집 『인생안내(人生案內)』(1938)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문학사』(조연현, 인간사, 1961)
『조선신문학사조사』(백철, 수선사, 1948)
「노춘성연구」(이성교, 『연구논문집』 3-1, 성신여자사범대학 인문과학연구소, 1970)
「춘성(春城)의 인간과 예술」(함대훈, 『조광』 6-11, 1940)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