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 ()

백조
백조
현대문학
문헌
1922년에, 문화사에서 배재 학당과 휘문 의숙 출신의 문학 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한 잡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22년에, 문화사에서 배재 학당과 휘문 의숙 출신의 문학 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한 잡지.
개설

1922년 1월 박종화(朴鍾和) · 홍사용(洪思容) · 나도향(羅稻香) · 박영희(朴英熙) 등이 창간하였다. 편집인은 홍사용,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택했는데, 1호는 아펜젤러(미국인 선교사, 배재학당 교장), 2호는 보이스 부인(미국인 선교사), 3호는 훼루훼로(망명한 백계 러시아인)이다.

내용

김덕기(金德基)와 홍사용의 재종형(再從兄)인 홍사중(洪思中)이 자금을 출자하여 문화사(文化社)에서 발행하였다. 컷 · 장정 · 표지는 안석주(安碩柱)와 원세하(元世夏)가 맡았다. 격월간으로 계획된 것이나 발간이 순조롭지 못하여 1922년 5월에 2호, 1923년 9월에 3호를 내고 종간되었다. 발행 동기는 휘문의숙(徽文義塾) 출신의 박종화 · 홍사용과 배재학당(培材學堂) 출신의 나도향 · 박영희 등의 문학 청년들의 사귐에서 비롯되었다.

3 · 1운동이 실패한 뒤 절망적 상황에서 이들 뜻이 맞는 젊은이들이 모여 문예와 사상을 펼 수 있는 잡지를 만들고자 하였다. 마침 김덕기 · 홍사중과 같은 후원자를 만나 문화사를 세웠고, 문예잡지 『백조』와 사상잡지 『흑조(黑潮)』를 간행하기로 하였으며 그 제일보로 『백조』를 창간하였던 것이다.

대체로 시 분야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주요 작품들은 시 분야에서 이상화(李相和)「나의 침실로」(제3호), 박영희의 「꿈의 나라로」(제2호) · 「월광(月光)으로 짠 병실(病室)」(제3호), 박종화의 「흑방비곡(黑房悲曲)」(제2호) · 「사(死)의 예찬(禮讚)」(제3호) 등이고 소설 분야에서 나도향의 「여이발사」(제3호), 현진건(玄鎭健)「할머니의 죽음」(제3호), 박종화의 「목매는 여자」(제3호) 등을 들 수 있다.

『백조』의 문학적 경향을 흔히 낭만주의적인 것으로 이야기하나, 그것은 시 분야에 국한된 일이고 소설 분야에 있어서는 역시 당시의 유행하는 사조(思潮)인 자연주의적인 성격이 짙다. 당시의 동인지는 어느 뚜렷한 문학적인 주의나 사조에 의하여 뭉친 동인이기보다는 문학 동호인의 친교적 성격이 강하였던 만큼 무슨 주의 일색으로 보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이들은 흔히 ‘백조파’로 묶어서 지칭하고 있는 바 그들의 문학적 경향은 서구의 낭만주의와는 달리 병적이고 퇴폐적인 면이 강하였다. 이는 3 · 1운동이 실패한 뒤 허탈한 느낌에서 문학을 시작한 청년 작가들의 정신적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다.

요컨대 이들 ‘백조파’ 시의 특징은 애수 · 비탄 · 자포자기, 죽음의 동경, 정신적 자폐증 등의 감상적 경향을 제대로 시로써 승화하지 못한 채 격정적이거나 애상적인 어투로 표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해방문학20년』(한국문인협회편찬, 정음사, 1966)
「한국의 문학지 60년」(백철, 『세대』제6권 통권58호, 1968)
「백조고찰-자료면을 중심으로 하여-」(김용직, 『국문학논집』 2, 196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