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척 ()

목차
과학기술
개념
중국 당나라에서 도입되어 사용한 길이단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국 당나라에서 도입되어 사용한 길이단위.
내용

당나라에서 사용되던 척도이다. 당대척은 유흠(劉歆)의 「거서누서설(秬黍累黍說)」에 근거하여 만들어졌던 당소척(唐小尺)의 1척 2촌 길이인데, 당소척이 악률척(樂律尺)인 데 대하여 당대척은 실용적인 척도였다.

이 척도의 시작은 북위후척(北魏後尺: 길이 29.67㎝)이며, 이것이 후주를 거쳐 수나라의 개황관척(開皇官尺)으로 전수되었다가 당나라로 전수된 척도이다. 당나라에서의 당대척 길이는 29.5∼31㎝였다.

이러한 당대척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통일신라 이후로, 당대척이 사용된 흔적은 석굴암과 불국사 석가탑과 첨성대 등에서 볼 수 있다. 석굴암 건설의 당대척은 29.706㎝, 불국사 석가탑 건조의 당대척은 30.024㎝로 밝혀졌다.

또, 고려 문종 때 미곡용(米斛用) 표준 양기를 제작하는 데 사용된 당대척 길이는 29.601㎝로 밝혀져, 고려의 미곡용 당대척은 수나라 개황관척과 일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당대척은 고려 이후 조선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명나라 영조척이 대신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다시 당대척이 일본을 거쳐 곡척(曲尺)이라는 명칭으로 도입되어 최근까지도 통용되고 있다. 곡척의 길이는 30.30㎝이다.

참고문헌

『한서(漢書)』
『수서(隋書)』
『구당서(舊唐書)』
『석굴암수리보고서(石窟庵修理報告書)』
「신라(新羅) 및 고려(高麗) 때의 양제도(量制度)와 양척(量尺)에 관하여」(박흥수,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