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토성 ()

목차
관련 정보
봉산 당토성 동남쪽 성벽
봉산 당토성 동남쪽 성벽
건축
유적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토성.
이칭
이칭
고당성(古唐城)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봉산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성곽. 토성.
내용

이곳은 사리원역에서 동남쪽으로 약 4㎞ 떨어진 곳으로, 대략 사방 350m 정도의 구릉 위에 축조된 토성이다.

일명 고당성(古唐城)이라고도 한다. 둘레는 대략 4리(里)이고 높이는 24척(尺)이다. 앞에는 토성평(土城坪)이라고 하는 끝이 보이지 않을 만큼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이 성에서는 중국의 한(漢)·진(晉) 시대의 기와와 벽돌이 많이 나왔는데, 벽돌들 가운데는 후한 시대(後漢時代)에 해당하는 ‘光和五年(광화5년)’(182)과 서진(西晉)의 ‘泰始七年(태시7년)’(271)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 명문(銘文)벽돌이 발견되었을 뿐만 아니라, 성터의 주변에는 수많은 전축고분(塼築古墳)이 분포되어 있다.

특히, 이 성터에서 약 1㎞ 정도 거리에 있는 태봉리제1호고분(胎封里第一號古墳)에서 발견된 묘전(墓塼)의 ‘使君帶方太守張撫夷(사군대방태수장무이)’라는 명문으로 미루어보아, 이 무덤은 대방군 태수의 무덤이고, 연대는 288년경으로 보이며, 이로써 이곳이 대방군의 치소(治所)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유물과 유적에 의해서 이것은 바로 대방군의 중심적인 성터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집필자
차용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