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 ()

목차
연극
작품
신라오기(新羅五伎)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오기(新羅五伎)의 하나.
내용

신라오기(新羅五伎)의 하나. 최치원(崔致遠)은 그의 <향악잡영 鄕樂雜詠> 5수에서 대면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누런 금빛 탈을 썼다 바로 그 사람, 방울채를 손에 쥐고 귀신을 쫓네. 자진모리 느린 가락 한바탕 춤은, 너울너울 봉황새가 날아드는 듯(黃金面色是其人 手抱珠鞭役鬼神 疾步徐趨呈雅舞 宛如丹鳳舞堯春).”

“누런 금빛 탈을 썼다 바로 그 사람, 방울채를 손에 쥐고 귀신을 쫓네.”라는 구절로 보아, 당대(唐代) 오기의 하나인 대면희(代面戱, 大面戱)나 일본에 전하는 좌방무(左方舞)의 ‘난릉왕(蘭陵王)’과도 비교되는 일종의 구나무(驅儺舞)이다.

이 대면희는 “향토색이 짙은 가면구나무(假面驅儺舞) (梁在淵)이다.”라고도 하고, 또는 “금색가면(金色假面)을 쓴 주술자(呪術者)가 사귀(邪鬼)를 물리치는 종교성의 무용극이니 시방 티베트(西藏)의 풍속을 연상하게 하는 것”(崔南善)이라고도 하였다.

여기서 티베트를 말한 것은 라마묘(喇嘛廟)의 타귀행사(打鬼行事)를 가리킨 듯하다. 당대의 대면희는 구자(龜玆:서역의 나라로 지금의 庫車 부근) 전래의 구나가면무를 북제(北齊)난릉왕의 고사에 결부시키고 모방하여 대면희가 되었고, 이것이 우리 나라에 영향을 주어 대면희나 검무의 성립에 도움을 주었다고 추정된다.

호무구자곡(胡舞龜玆曲)인 가면무에도 연희자가 금은으로 장식한 가면을 쓰고 주옥으로 옷에 치장을 하였다고 하는데, 당나라의 대면희에도 연희자가 자색옷에 금빛 채찍을 허리에 찼다고 하였고, 신라오기의 대면희도 이와 유사한 것으로 보아, 셋이 같은 계열의 구나무임을 짐작하게 한다.

우리 나라의 가면 중 대면을 찾으면 호우총(壺杅塚) 출토의 귀면형으로 된 목심칠면(木心漆面)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푸른 유리 눈알을 금테두리로 둘렀고, 뿔에는 황금으로 된 정구형의 장식이 붙어 있다. 황금색이 적색과 더불어 벽사색(辟邪色)이라는 점에서 이 가면 역시 구나무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 →신라오기

참고문헌

「오기(五伎)」(김재철, 『조선연극사』, 학예사, 1939)
「향악오종이란 것은 무엇입니까」(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7)
「고구려악과 서역악」(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신라오기고」(이두현,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9, 1959)
「신라오기연구서설」(양재연, 『도남조윤제박사 회갑기념논문집』, 1964)
「향악잡영과 당희와의 비교고석」(김학주, 『아세아연구』 7-2,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