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대승사 목각 아미타여래 설법상 및 관계 문서 (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문화재
조선후기 에 제작된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의 목각탱과 관련된 문서. 불교문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에 제작된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대승사의 목각탱과 관련된 문서. 불교문서.
내용

197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4매. 이 문서는 「상주대승사외사사승도등장(尙州大乘寺外四寺僧徒等狀)」 · 「상주사불산대승사승도등장(尙州四佛山大乘寺僧徒等狀)」 · 「도내상주사불산대승사제승등장(道內尙州四佛山大乘寺諸僧等狀)」 · 「완의(完議)」이다.

등장은 소지(所志)의 일종으로 여러 사람의 이름을 연서하여 관에 올려 인증을 받는 문서로서, 이 목각탱에 관계되는 등장은 1869년(고종 6)과 1876년(고종 13)에 작성되었다.

현재 대승사에 있는 목각탱화는 원래 영주 부석사(浮石寺)에 있었던 것으로, 1862년(철종 13) 대승사의 화재로 법당이 불에 타 없어지자, 새로 법당을 짓고 폐찰되어 있던 부석사에서 목각탱화를 옮겨놓았다. 그 뒤 부석사에서 반환을 요구하여 시비가 일게 되자 등장을 올리게 되었고, 1876년 대승사에서 부석사의 조사전(祖師殿) 수리비용을 대주기로 하고 합의를 보게 되어 「완의」를 작성하기에 이르렀다.

경상북도 문경시 대승사에 소장되어 있다. 이들 문서는 대승사에 있는 목각탱화에 얽힌 유래와 조선 후기의 부석사와 대승사의 사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이밖에 1875년에 작성된 『순흥부석사승도등장(順興浮石寺僧徒等狀)』도 대승사에 보관되어 있다.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