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구 전투 ( )

목차
관련 정보
대전지구 전적비
대전지구 전적비
국방
사건
6·25전쟁 발발 후 미 제24사단이 105전차사단으로 증강된 북한군 제3·4사단과 맞서 대전지역에서 치른 최초의 방어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전지구 전투는 6·25전쟁 발발 후 미군이 북한군과 맞서 대전 지역에서 치른 최초의 방어전투이다. 북한군은 전차사단을 증강해 대전에 대대적인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에 대전방어를 맡은 미군은 전투도 해보지 못하고 급히 철수하였다. 이를 알지 못한 미군 사단장은 대전 시내를 공격하다가 악화된 상황에 철수명령을 내렸다. 철수하던 미군은 세천터널에서 매복하고 있던 북한군의 기습공격을 받아 사단장이 실종되고 많은 병력과 장비를 상실하였다. 이 전투를 계기로 미군은 북한군의 전투력을 재평가하고 새로운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정의
6·25전쟁 발발 후 미 제24사단이 105전차사단으로 증강된 북한군 제3·4사단과 맞서 대전지역에서 치른 최초의 방어전투.
배경

국군이 소백산맥선에서 지연전을 수행하고 있을 무렵 미 제24사단에게 대전 방어 임무를 부여하였다. 이 임무에 따라 윌리엄 F. 딘(William Frishe Dean) 미 제24사단장은 제34연대를 갑천 동쪽 천변에 배치하여 북한군의 공격을 저지하고, 제21연대를 옥천 부근에 배치하여 대전 동쪽 방면의 방어와 제34연대의 철수로를 확보하게 하였다. 그리고 제19연대 제2대대와 사단 수색중대를 제34연대에 배속시켰다.

이때 북한군은 제3사단 주력이 제105전차사단의 지원하에 대전 정면을 공격하여 미 제24사단을 고착시키고, 일부 병력이 동쪽으로 우회하여 제4사단과 함께 경부국도를 차단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경과

북한군은 7월 19일까지 대전 외곽지역에 진출하였다. 북한군 제3사단은 7월 16일 대전 북방 대평리를 점령했지만, 18일까지 전차와 야포 등 중장비의 도하를 기다렸다가 19일에 유성까지 진출하여 대전 외곽을 공격하면서 일부 부대를 대전∼옥천 사이의 요충지로 침투시켰다. 그리고 제4사단은 공주를 거쳐 15일 논산을 점령하고, 19일 유성 내동리까지 진출하여 대전 외곽을 공격하면서 1개 연대를 금산 방향으로 우회시켰다.

북한군은 후방도로를 차단한 상태에서 7월 20일 03시 공격준비사격과 함께 대대적인 공격을 개시하였다. 전차를 앞세운 북한군의 공격에 갑천 지역의 제34연대 제1대대와 제19연대 제2대대가 전투다운 전투도 못한 채 상급지휘관에게 보고도 없이 보문산으로 철수하였다. 미군 전방부대가 철수한 상태에서 북한군은 전면적인 시가지 공격을 하지 않고 포병사격과 전차 단독 공격으로 대전 시내를 교란하였다.

통신두절로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던 윌리엄 F. 딘 미 제24사단장과 제34연대장은 북한군의 일부 병력과 전차만이 대전 시내에 들어온 것으로 판단하고 북한군 전차 사냥에 나섰다. 이날 보병의 엄호 없이 단독으로 대전 시가지를 교란하던 북한군 전차는 수색중대와 공병중대의 3.5인치 로켓포조에 의해 8대가, 야포에 의해 2대가 격파되었다.

그러나 북한군은 이미 대전에서 금산과 옥천에 이르는 도로를 차단하고 주력을 시내로 진입시키고 있었다. 윌리엄 F. 딘 사단장은 악화된 전황을 전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가 사태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이날 15시경 주간 철수 명령을 하달하였고, 자신도 16시경에 대전에서 철수하였다.

미 제24단은 철수 도중 세천터널에서 매복하고 있던 북한군의 기습공격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며, 사단장 마저 실종된 후 진안에서 포로가 되는 비운을 맞았다. 대전전투에서 미 제24사단은 전사 465명, 부상 325명, 포로 175명, 실종 130명의 인명피해를 입었으며, 제34연대와 포병부대의 장비를 대부분 상실하였다.

의의와 평가

대전전투에서 미 제24사단은 사단장이 행방불명된 것을 비롯하여 많은 병력과 장비 손실을 입었으나, 7월 20일까지 지연임무를 수행함으로써 미 제1기병사단이 영동 일대에 투입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이 전투를 계기로 미군 지휘부는 북한군의 전투력을 재평가하고 새로운 대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우리가 겪은 6·25전쟁』(대한민국육군협회, 2013)
『6·25전쟁사:금강-소백산맥선 지연작전』4(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한국전쟁』상(국방군사연구소, 1995)
『Battles of the Korean War: A Chronology, with Unit-by-Unit United States Causality Figures & Medal of Honor Citations』(Richard E. Ecker, McFarland Publishing, 200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동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