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합 한국재건단 ( )

외교
단체
1950년 12월 국제연합이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한 기구.
이칭
이칭
UNKRA, 운크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50년 12월 국제연합이 한국의 부흥과 재건을 돕기 위해 설립한 기구.
개설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은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호에 의거해 설립되었다. 일명 운크라(UNKRA)라고 불리기도 하는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한국전쟁으로 붕괴된 한국경제를 전쟁 전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재건사업의 추진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러나 전쟁기간 동안에는 이용 가능한 항구와 운송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민간인에 대한 긴급구호에 활동의 초점이 맞추어졌다.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한 것은 1953년 휴전이 체결된 이후였다. 이때부터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1958년 7월 1일 활동을 종료 할 때까지 한국의 산업 · 교통 · 통신시설의 복구와 주택 · 의료 · 교육시설의 개선사업에 주력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전시상황에 따른 긴급 구호문제가 국제사회에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국제연합은 1950년 7월 7일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해 남한에 대한 군사 · 경제적 원조를 제공하기로 결의하였다. 이어 7월 31일에는 국제연합경제사회이사회가 한국민이 직면하고 있는 극심한 가난과 재해에 깊은 동정심을 가지고 회원국 정부와 민간기관에 한국 전재민(戰災民) 구호를 호소하였다. 이러한 국제연합의 노력 결과, 미국을 위시한 서방진영의 정부 및 민간단체로 이루어진 민간구호원조(Civilian Relief in Korea: CRIK)가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한편 1950년 12월에는 한국에서 전재민 구호사업을 담당하던 유엔군사령부 산하 보건후생과가 국제연합주한민사처(United Nations Civil Assistance Command in Korea: UNCACK)로 개편되어 교전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 대한 민간원조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에 이어 국제연합은 전쟁으로 붕괴된 한국경제를 전쟁 전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재건사업을 추진하려 하였는데, 이를 위해 1950년 12월 1일 국제연합 총회 결의 410(V)호에 의거 유엔한국재건단을 설립하게 되었다.

기능과 역할

창설 당시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동경과 부산에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되었다. 본래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설립되면 국제연합주한민사처가 수행해 오던 긴급 구호의 업무가 이 기구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공식적으로 활동을 개시한 1951년 2월에 이들이 사용할 수 있는 항구와 운송 시설은 남한내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전선 상황이 군사물자 운송을 우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공식적으로선시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초기 활동은 민간인에 대한 최소한의 긴급 구호로 제한되어야만 하였다. 이마저도 유엔군을 통해서만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본래의 목적하에서 본격적인 원조활동을 시작한 것은 1953년 휴전 이후였다.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각국으로부터의 자금 갹출이 어느 정도 실현되고 전세가 완화된 1953년에 7,000만 달러의 기금으로 부흥사업에 착수하였다. 1958년 7월 1일 공식적으로 활동을 종료할 때까지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총 1 22,084,000달러의 계획된 물자를 한국에 지원하였다.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은 식량을 비롯한 민수물자를 들여와서 민생안정을 꾀하는 데 주력하였고, 파괴된 산업 · 교통 · 통신시설의 복구와 주택 · 의료 · 교육 시설 재건에 힘썼다. 비록 활동기간 동안에 책임과 관할권의 소재, 관료주의, 파벌주의 등으로 인해 유엔군사령부 및 미 경제원조처와 마찰을 빚기도 했지만,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의 원조 활동은 인천판유리공장, 문경시멘트공장, 국립의료원의 설립과 같이 한국의 주요 산업시설과 의료시설들을 발전시키는 기여하였다. 국제연합한국재건단이 존속한 8연 기간 동안 이 기구를 이끈 사람은 전쟁 기간 동안 미 제1군단장과 제9군단장을 역임하고 퇴역한 쿨터(John Coulter) 장군이었다.

참고문헌

『한미관계 20년사(1945∼1965년)·해방에서 자립까지』(도널드 스턴 맥도널드 저, 한국역사연구회 1950년대반 역, 한울, 2001)
「제1공화국기 미국의 대한경제원조정책 연구」(이현진,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집필자
박동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