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배지 ()

목차
관련 정보
도서패지
도서패지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상전(上典)이 하인에게 위임할 때 자신의 도서(圖署)를 찍은 문서. 위임문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상전(上典)이 하인에게 위임할 때 자신의 도서(圖署)를 찍은 문서. 위임문서.
개설

배지는 ᄇᆡᄌᆞ[牌子]라고도 하는데, 대개 상전이 하인에게 어떤 임무를 부여할 때 발급하는 문서이다. 배지로서 가장 많은 것은 토지나 노비를 매도할 때 상전이 하인에게 매도하는 일을 위임한 경우이다.

즉, 배지는 위임장의 성격을 띤 문서이다. 도서배지는 대개 궁방에서 발급하는 문서로서, 궁방의 도서가 찍혀 있다. 궁방에서 그 장토(庄土)·어장(漁場)·염분(鹽盆)에서의 수입, 기타 이권(利權)의 유지와 확보를 위한 일을 위임할 때 그 임무를 위임받은 사람에게 발급하였다.

그 서식은 일반 배지와 같으나 몇 가지 다른 점이 있다. 즉, 발급자가 상전으로 표시되지 않고 ‘모궁(某宮)’ 또는 ‘모궁방(某宮房)’으로 되어 있고, 위임을 받는 사람은 노비신분이 아니며, 도서가 찍힌 점이 다르다.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여러 건이 전래되어 있고, 규장각도서의 궁방장토문적에도 있다. 또, 궁방의 등록류인 『용동궁등록(龍洞宮謄錄)』 등에서는 그 전재된 것을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도서배지는 당시 궁방에 관한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고문서연구』(최승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