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통록 ()

목차
관련 정보
도통록
도통록
유교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종화가 도학의 전래 과정을 밝혀 1910년에 간행한 연원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종화가 도학의 전래 과정을 밝혀 1910년에 간행한 연원록.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10년 저자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준(宋炳俊)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송의섭(宋毅燮)과 저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서두에 도통전수도(道統傳授圖) 1편, 권1은 중국의 제왕 9편과 성현 21편, 권2는 우리나라의 내용으로 왕 1편, 성현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은 중국의 삼황오제(三皇五帝)인 복희·신농·황제·요·순·우·탕·문왕 등과, 성현으로는 주공(周公)·공자·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 그리고 송나라의 정호(程顥)·정이(程頤)·주희(朱熹) 등의 행적과 사업을 구체적으로 열거하였다.

우리나라에 관해서는 기자(箕子)·안유(安裕)·정몽주(鄭夢周)·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 등의 행적·학문·사업을 신도비·실기·행장·언행록·기선록(記善錄) 등에서 간추려 뽑아 본받기 쉽도록 편찬하였다.

정주학(程朱學)과 우리나라 명현들의 학문을 비교하면서 그 유래를 자세히 밝히고 그 발전과정을 명시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