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악
물품
조선 전기, 아악(雅樂)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한 의례용 타악기.
물품
재질
대나무
관련 의례
회례연, 사직제례, 종묘제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독은 조선 전기 아악(雅樂)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한 의례용 타악기의 하나이다. 세종조 회례연의 헌가(軒架) 악대의 경우 독은 48인이 추는 육일무(六佾舞)의 무무 왼쪽에 위로부터 응(應), 아(雅), 상(相), 독(牘)의 순서로 배치되어, 무무 왼편 가장 아래쪽에 위치했다. 무무의 왼쪽에 배치되는 타악기는 나무, 대나무 혹은 가죽으로 만들고 무무의 오른쪽에는 금속으로 만든 타악기 순(錞), 탁(鐲), 요(鐃), 탁(鐸)이 함께 배치되었다. 대나무로 길게 만들어, 무무를 출 때 북과 함께 땅을 다지듯이 내려쳐 소리를 냈다.

키워드
정의
조선 전기, 아악(雅樂)의 무무(武舞)를 출 때 사용한 의례용 타악기.
개설

독(牘)은 문무(文舞)가 다 물러가고 무무(武舞)가 들어올 즈음 악생(樂生)응(應), 아(雅), 상(相)과 함께 가지고 들어와서, 춤추는 사람 왼편 끝부분에 서서 북소리에 따라 땅을 다지듯이 내려쳐 소리를 내어 춤을 주1 용도로 쓰였다. 세종조 주2헌가(軒架) 악대에서는 48인이 추는 주3의 무무 왼쪽 가장 아래 쪽에 배치되었다.

독의 모양과 쓰임에 대해서는 세종 대에 재점검이 이루어지는데, 1430년(세종 12)에 박연은 “아악에 쓰는 독은 대나무로 만들기는 했지만 속을 파내지 않아서 마디마다 모두 막혀 있으므로 ‘속이 비고 밑바닥이 없다’라고 하는 원래 제도에서 벗어났고, 또 두 구멍을 뚫지 않고 채색으로 그린 것도 없으며 땅에 내리칠 때 전혀 소리가 나지 않아 본 제도에 어긋난다”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박연은 주4에 의거하여 새롭게 고쳐 만들어 쓸 것을 건의한 바 있다.

연원

독은 아악을 연주하는 음악의 무무를 출 때 사용한 주5이다. 세종 대에는 회례 아악의 무무를 출 때 쓰였고, 사직제례와 종묘제례의 무무를 출 때에도 쓰였다. 정조 대에 이르면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된다.

형태와 제작 방식

독은 대나무로 만들며 크기는 5치이다. 긴 것은 7자, 짧은 것은 3자인데, 속이 비어 통(筩)과 같고 밑바닥이 없다. 그 끝에는 두 구멍이 있고, 검붉은 색으로 그림을 그린다. 그 소리를 죽여 작게 하는 것은 악(樂)을 절제하기 위해서다.

관련 풍속

독을 연주할 때는 무무의 왼쪽 편에 서는데, 뜰에 늘어 서서 양손으로 독을 쥐고 땅을 다지듯이 내려 친다. 땅을 내리 쳐서 소리를 내어 춤추는 사람의 걸음걸이를 조절한다. 독을 연주하는 이들은 홍말액(紅抹額), 즉 붉은 주6로 동여맨 주7을 쓰고 주8주9, 주10를 입고 허리에는 금동 혁대를 띤다. 발에는 일종의 버선인 주11을 신고, 검정색 가죽 신 주12를 신는다.

참고문헌

원전

『악학궤범』
『국조오례서례』
『악서』
『증보문헌비고』
『춘관통고』
주석
주1

정도에 넘지 아니하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하다. 우리말샘

주2

설날이나 동짓날에 문무백관이 모여서 임금에게 배례한 후에 베풀던 잔치. 우리말샘

주3

일무(佾舞)의 하나. 36명 또는 48명이 여섯 줄을 지어서 추는 춤이다. 우리말샘

주4

그림을 곁들여 설명함. 또는 그 책. 우리말샘

주5

의장(儀章)으로 쓰는 여러 가지 물건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악공들이 쓰는 관에 장식하던 붉은 끈. 우리말샘

주7

중국 주나라 때, 무관들이 쓰던 관(冠)의 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에 순(錞), 독(牘) 따위를 연주하는 악공이 썼다. 우리말샘

주8

조선 시대 악사나 악공, 공인 등이 백주 중단 위에 입는 예복 두루마기. 붉은색이나 검정색 비단으로 만들며, 둥근 깃에 넓은 소매 그리고 가슴과 등, 양 어깨에 난새와 봉황새를 그린 흉배가 붙어 있다. 우리말샘

주9

조선 시대 악사나 악공, 공인(工人) 등이 입던 흰색 예복의 한 가지. 직선 깃과 넓은 소매에 깃ㆍ섶ㆍ소매ㆍ도련의 가장자리를 검은 비단으로 둘렀다. 우리말샘

주10

조선 시대에, 악사나 악공, 공인(工人) 등이 입던 흰 명주 바지. 두 가랑이 끝에 버선이 달려 있다. 우리말샘

주11

흰 베로 만든 버선. 우리말샘

주12

악사나 공인들이 신던 끈이 달린 검은 가죽신.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