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각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삼성암 독성각 정측면
서울 삼성암 독성각 정측면
불교
개념
사찰에서 스승없이 홀로 깨친 독각의 성자를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목차
정의
사찰에서 스승없이 홀로 깨친 독각의 성자를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내용

독성은 독수선정(獨修禪定)하여 도를 깨달은 자로서, 일반적으로 독성각에는 나반존자(那畔尊者)를 봉안하는 것을 통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 독성신앙에 특유의 단군신앙을 가미시켜 새롭게 수용하고 전개시켰다. 따라서 이 독성각은 우리나라 사찰 특유의 전각 중의 하나로서 한국불교의 토착화 과정을 일러주는 좋은 증거가 된다. 독성각에는 나반존자상을 비롯하여 후불탱화인 독성탱화(獨聖幀畫)를 모시게 되는데, 사찰에 따라서는 탱화만을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독성각이 토속신앙과의 접합에서 이루어졌다고는 하지만 우리나라 불교사의 초기 및 중기의 사찰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널리 건립되어 사찰의 한 당우로 자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인하여 불교가 핍박받게 되고 말법시대(末法時代)라는 자각이 강하게 대두됨에 따라, 말법중생에게 복을 주고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나반존자에 대한 신앙이 강하게 부각되었다. 현재에도 일반 서민층에서는 대웅전 등의 중심 당우에서보다 독성각에서 불공을 드리는 경우가 많은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독성각 중 유명한 것은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운문사(雲門寺)의 부속암자인 사리암(舍利庵)과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의 삼성암 등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3 -사원건축(寺院建築)-(중앙일보, 『계간미술』, 198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