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사기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구성 및 형식

1책. 국문필사본. 조선 태조 건국설화로부터 영조 때까지의 역대 왕과 장수의 기담을 기년체(紀年體)로 엮은 패사소설(稗史小說)이다.

정확한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나, 「동국사기」와 함께 합철된 『동국보감(東國寶鑑)』이라는 표제의 국문본 종엽(終葉)에 ‘운계’라는 사람이 “셰지 신사 팔월 이십ᄉᆞ일 필서”라고 한 것으로 볼 때, 1881년(고종 18) 전후에 필사한 듯하다.

「동국사기」의 필사자는 유식층이 아닌 듯 하며, 이 책은 송독하는 글을 받아 적은 듯한 조잡한 필묵의 한철본(漢綴本) 단권이다.

내용

이 소설의 출처는 영동지방의 규방문갑에서 나왔다. 필경은 유자들의 손에 의하여 패사류에서 초록하고 이를 패사체 소설로 창작하였다고 볼 때, 아마 이 책도 『여사서(女四書)』 등과 함께 자녀교육서로 번역되고 필사되어 규방에 전승되었다고 본다.

대표적인 패사로는 이성계(李成桂)의 조선건국 내용을 담은 「이조건국설화(李朝建國說話)」, 영웅으로 태어났다가 억울한 죽음을 당한 「남이장군설화(南怡將軍說話)」, 장희빈을 몰아내고 숙종을 구하고 민중전을 회궁시켰다는 「신여철장군공훈설화(申汝哲將軍功勳說話)」, 숙종과 후비 이씨와의 인연을 이야기해주는 「숙종과 이씨비인연설화(李氏妣因緣說話)」, 억울한 단종의 원혼을 위로해준 영월신관 박영기의 「단종의 원혼설화」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설화는 누구에 의하여 꾸며진 것인지 알 수 없으나, 역대의 대표적 왕과 장수의 설화와 연결시켜 소설화시킨 것이 매우 이색적이다. 장서각에 있다.

참고문헌

「동국사기패사소설연구」(이수봉, 『영남대학교논문집』 6, 영남대학교출판부, 196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