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풍아 ()

동국풍아
동국풍아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김광제가 우리나라의 역대 시 가운데 도덕 · 충의의 시를 뽑아 1917년에 간행한 시선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김광제가 우리나라의 역대 시 가운데 도덕 · 충의의 시를 뽑아 1917년에 간행한 시선집.
서지적 사항

6권 2책. 1917년에 간행되었으며, 조창규(趙昶奎)가 교열하였다.

내용

권두에 노상직(盧相稷)의 서와 김광제(金光濟)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은 권1에 오언절구, 권2에 오언율시, 권3에 칠언절구, 권4에 칠언율시, 권5에 오언고시, 권6에 칠언고시, 부록은 명석명원시(名釋名媛詩)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수록된 시는 그 범례에서 밝히고 있듯이 신라로부터 조선말에 이르기까지 명가의 시 가운데 도덕 · 충의의 시와 널리 회자되어온 시를 선집하였다. 선택범위는 오언 · 칠언의 절구 · 율시 및 장편배율이고, 선집기준은 전래의 민속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읽고 감동할 만한 것과 권선징악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편차의 원칙은 시대순, 오언 · 칠언, 절구 · 율시 및 장편의 순서로 되어 있다. 수록된 시제 아래마다 저자의 이름과 본관 · 호 · 시호 · 작위 등이 기록되어 있다. 각 권에서 주요작품을 보면 다음과 같다.

권1은 최치원(崔致遠)「추야우중(秋夜雨中)」, 이제현(李齊賢)의 「보덕굴(普德窟)」, 서거정(徐居正)의 「수기(睡起)」 등이 있다. 권2는 정도전(鄭道傳)의 「산중(山中)」, 김시습(金時習)의 「도중(途中)」, 서경덕(徐敬德)의 「산거(山居)」 등이 있다.

권3은 정몽주(鄭夢周)의 「한신묘(韓信墓)」, 길재(吉再)의 「술지(述志)」, 정지상(鄭知常)의 「대동강(大同江)」과 사육신의 시 등이 있다. 권4는 권근(權近)의 「학명루(鶴鳴樓)」, 박충원(朴忠元)의 「송규암임옥(宋圭庵賃屋)」 등이 있다. 권5는 이황(李滉)의 「탁영담범월(濯纓潭泛月)」, 최립(崔岦)의 「고목(枯木)」, 정약용(丁若鏞)의 「추흥(秋興)」, 이건창(李建昌)의 「보성초춘(寶城初春)」 등이 있다.

권6은 이인로(李仁老)의 「속행로난(續行路難)」, 어무적(魚無迹)「유민탄(流民嘆)」 등이 있다. 부록은 휴정(休靜)을 비롯하여 승려 10인의 시와 성천 기생 일지홍(一枝紅) 등 기생 19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총 800인에 달하는 역대 시인들의 시를 각각 1∼5수 정도 채록(採錄)한 시선집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