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도악부 ()

점필재집 / 동도악부
점필재집 / 동도악부
한문학
작품
조선 성종 때, 김종직(金宗直)이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의 사적을 읊은 악부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성종 때, 김종직(金宗直)이 경주를 중심으로 신라의 사적을 읊은 악부시집.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 권3에 7편의 작품이 전하며, 「동경잡기(東京雜記)」·「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속동문선(續東文選)」·「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도 실려 전한다. 그 중 김유신(金庾信)이 어머니의 간곡한 가르침을 받아 기방 출입을 금하게 된 내용(『파한집』)인 「천관사(天官寺)」는 그 제목만 남아 있다.

내용

그 대략의 내용을 살펴보면, ① 신라 유리왕 때 팔월대보름 길쌈놀이를 묘사한 「회소곡(會蘇曲)」, ② 눌지왕이 왜(倭)와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두 아우를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게 한 기쁨을 노래로 지었다는 「우식곡(憂息曲)」, ③ 왜로 떠난 박제상(朴堤上)을 치술령에 올라 애타게 그리다 죽은 그의 부인의 이야기인 「치술령(鵄述嶺)」, ④ 소지왕이 한 노인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게 된 내용인 「달도가(怛忉歌)」, ⑤ 백제와의 전쟁에서 용감히 싸우다 죽은 김흠운(金歆運)을 애도한 「양산가(陽山歌)」, ⑥ 빈한한 가운데에서 고고한 삶을 살았던 백결선생의 이야기인 「대악(碓樂)」, ⑦ 백제왕을 칼춤을 추다가 죽인 황창랑(黃昌郎)의 이야기인 「황창랑」 등 7편이다.

의의와 평가

『동도악부』는 다름아닌 우리 민족의 역사를 그 소재로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큰 것이며, 그 역사적인 소재를 시적인 정취 속에 진솔하게 묘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점필재집(佔畢齋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