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증권㈜ (())

경제
단체
유가증권의 거래와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기업체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유가증권의 거래와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담당하는 기업체의 하나.
연원 및 변천

1962년 6월 일국증권주식회사로 창립하여 자본시장의 개척시기부터 기업의 자금조달과 투자자의 재산운용에 관련된 업무를 주로 담당해 왔다. 설립 당시에는 증권시장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았으므로 모험적인 기업으로 유가증권의 거래업무나 사채발행 등에 따른 여러 가지 업무를 수행하는 기업이다.

1984년 11월 동양시멘트공업주식회사가 총 자본금 중 87.8%를 출자하였고, 이듬해 3월 재무부로부터 유가증권의 인수공모업무를 허가받았다. 같은 해 6월 동양증권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고 본격적으로 동양그룹(기업집단)의 일원으로 편입되면서 대형증권사로 도약할 계기를 마련하였다.

1987년주식회사동양경제연구소를 설립하여 체계적인 조사, 분석과 자료에 근거하여 경영을 과학화하였다. 1991년 10월 유럽에 해외 현지법인(Tong Yang Securities Europe Ltd.)을 설립하였고, 1992년 2월 에도 현지법인(Orion Asset Management Co., Ltd.)를 설립하였다.

이듬해 3월 에는 재무부로부터 기업인수 및 합병(M&A)주선 업무의 겸업을 인가받았다. 1992년 10월 일본의 동경에 사무소를 개설하였다. 이듬해 미국에 현지법인(Tong Yang Securities America Inc.)을 설립하였고, 1994년 에는 스위스에 사무소를 개설하였으며, 1996년 10월 에는 중국 상해에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해외 진출을 활발하게 하였다.

1993년 7월에는 주식회사동양경제연구소 지분을 전액 매각하였으며, 1996년 6월에는 대신투자자문에 출자하기도 하였다. 1994년 6월 일반투자가의 해외증권투자 매매거래 위탁업무 취급 증권회사로 지정되었고, 1994년 중국 홍콩에 현지법인 설립 허가를 받았다.

이듬해 4월에 출자를 완료하였고, 필리핀 합작 현지법인에서 영업을 개시하기도 하였다. 1997년 7월 종금센터 본부점을 개설하고, 부산에도 종금센터 부산점을 개설하였다. 1996년 3월에 증권업계 최초로 수익증권 판매 업무를 개시하였으며, 이듬해 8월에는 어음 매매의 중개, 어음의 할인과 매매 업무를 개시하였다.

이 기업은 증권업계 최초로 최첨단 투자정보시스템인 ‘동양타임즈2’를 개발, 과학적인 투자시스템을 구축하여 조사 연구 기능의 차별화를 이루고, 책임경영체계 확립을 위해 본부장제도를 도입하였다고 한다.

또한 국제화시대의 개박과 금융시장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21세기 초일류 종합금융회사’로의 도약을 위한 ‘신경영운동(BEST·PRO 2000)’을 전개하였다.

해외시장의 개척에 노력한 결과 런던·뉴욕·홍콩 등지에 현지법인을 두었으며, 필리핀 합자증권사와 도쿄·제네바·샌프란시스코 등에 해외사무소를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특히 국내 최초로 주기지수연계 채권과 파생금융상품을 평가, 운용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등 이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였다.

동양그룹(기업집단)의 소속 회사였으며, 주요 관계회사로는 중앙투자신탁·어셋코리아투자·동양시멘트주식회사·동양제과주식회사·오리온음료주식회사·동양해운주식회사 등이 있었다.

1998년 당시 자산은 총 1조 797억 원, 자본금 약 1,400억 원, 매출액 1,500억 원이었고, 종업원은 약 900명에 달하였다.

현황

2014년 3월 동양증권이 대만 유안타(元大)금융그룹 계열사로 편입됨에 따라 같은 해 10월 1일부로 사명이 유안타증권으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대만 유안타증권의 대한민국 현지법인이 설립되었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에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사, 1999)
『회사연감』(매일경제신문사, 1998)
『한국기업총람』(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 1998)
『한경기업정보』(한국경제신문사,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