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간 (대장)

목차
관련 정보
대장간
대장간
산업
개념
풀무를 차려 놓고 쇠를 달구어 여러 가지 연장을 만드는 건물을 가리키는 산업용어.
내용 요약

대장간은 풀무를 차려 놓고 쇠를 달구어 여러 가지 연장을 만드는 건물이다. 대장간에서는 무딘 농기구나 각종 연장을 불에 달구어 벼리기도 하고 새로 만들었다. 풀무와 화로 등의 기본적인 설비와 모루·메·망치·집게 등의 연장이 있었다. 대장장이는 청동기의 출현과 동시에 등장했다. 오랜 숙련을 통해 담금질로 쇠의 강도나 성질을 조절한다. 자급자족하는 농어촌에서는 대장간은 필수적인 장소였다. 이 때문에 옛날에는 시골 장터나 마을 단위로 반드시 대장간이 있었다. 지금은 농기구를 기계로 만들게 되면서 대장간과 대장장이를 찾아보기 어렵다.

목차
정의
풀무를 차려 놓고 쇠를 달구어 여러 가지 연장을 만드는 건물을 가리키는 산업용어.
내용

옛날에는 시골 장터나 마을 단위로 반드시 대장간이 있어 무딘 농기구나 기타 각종 연장을 불에 달구어 벼리기도 하고 새로 만들기도 하였다. 자급자족하는 농어촌에서는 대장간은 하나의 필수적인 존재였다. 대장장이는 오랜 숙련을 통해 담금질로 의 강도나 성질을 조절한다.

풀무는 손풀무와 발풀무가 있는데 발풀무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대장간에는 풀무 외에 모루 · · 메(앞메와 옆메) · 집게 · 대갈마치 · 등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진다. 대장간이 없는 마을로 이곳 저곳 돌아다니면서 연장을 벼루는 떠돌이 대장장이도 있었다.

철 · 구리 · 주석 등 금속을 달구고 두드려 연장과 기구를 만드는 장인을 대장장이라 한다. 또한, 딱쇠 · 대정장이 · 성냥 · 바지 · 야장(冶匠) · 철장(鐵匠)이라고도 한다. 대장장이는 청동기의 출현과 동시에 등장하였다.

그러나 기록상 최초의 야장은 신라석탈해(昔脫解)였다. 신라에는 철유전(鐵鍮典) · 축야방(築冶房)과 같은 관서가 있어 무기 · 생활용품 · 농기구 등을 제작하였으므로, 이미 이때 많은 대장장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신라시대의 에서는 불상의 주조기술을 가진 사노(寺奴)가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관직 · 제도상에서 여러 장(匠) 가운데 홀대대장(笏袋大匠) · 연장(鍊匠) · 전장(箭匠) 등은 대장간을 관장하던 관리로 여겨진다. 조선시대『경국대전』 공전(工典)에는 서울에 192명, 지방에 458명의 야장, 즉 대장장이가 각 관서에 배치되었다고는 하지만, 그 숫자는 정확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조선 초기 야장이 부족하여 일반군인과 포로로 잡은 왜인(倭人) 야장을 사역시키기도 하였다. 야장은 다시 유철장(鍮鐵匠) · 주철장(鑄鐵匠) · 수철장(水鐵匠)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 무쇠를 다루는 수철장은 대로야(大爐冶) · 중로야(中爐冶) · 소로야(小爐冶)로 구분되어 각기 솔거인(率居人)을 거느렸다.

이와 같은 야장의 세분화는 금속가공기술 발달의 결과이며, 이에 따라 조선 후기에 와서 대장장이라고 하면 수철장만을 일컫게 되었다. 그들 중 오로지 관청수공업장에서만 사역당하는 대장장이도 있었지만, 스스로 농기구 등을 만들어 장시(場市)에 상품으로 판매하거나 물물교환으로 생활하면서 관청의 사역에 때때로 응하던 자들이 많았다.

특히, 관청수공업이 붕괴되던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오히려 후자의 경우가 압도적이었으며, 그들은 호조에 장세(匠稅)로 포 한 필을 납부하면 되었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는 장역(匠役)이 없어지지 않았고, 장세와 함께 큰 부담이 되었으므로 농기구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장세를 면제하려는 정부의 논의도 있었다.

조선 전기 대장장이의 신분은 양인천인이었지만, 후기에 들어서는 거의 양인화하여 관청의 사역에서 벗어나는 데 큰 힘이 되었다. 그러나 대장장이라는 천대를 면하지는 못하였다.

그들의 작업장인 대장간에는 풀무와 화로가 기본적인 설비이고, 그 밖에 모루 · 메 · 망치 · 집게 등의 연장이 있었다. 작업과정을 살펴보면 풀무로 화로의 불을 피워 쇠를 달군 뒤 메질과 담금질을 계속한다.

그런 다음 만들 제품의 크기에 따라 시우쇠를 토막내는데, 이를 ‘깜을 잡는다.’고 한다. 깜을 잡은 뒤 화로에 넣어 풀무질로 쇠를 익혀서 주1를 들이고 다시 날을 괸다. 다음에 괸 날을 오그리고 다듬어 자루를 박는다.

전통적인 대장장이가 호미 하나를 만드는 시간은 줄잡아 한 시간이 걸리지만, 기계로 제작하면 한꺼번에 수십 개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대장장이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고, 지금은 대장간과 대장장이를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앞으로 미래 첨단정보화사회가 되더라도 쇠붙이를 다루는 대장간의 정신과 얼은 제철산업과 철강산업, 그리고 다양한 연장을 만드는 산업으로 자리매김될 것이다.

특히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되고 개성 있는 수공업 제품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전통적인 대장간도 창조적으로 재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 속에 담긴 얼과 문화를 재조명할 필요성은 커질 것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경국대전』
『이조후기 수공업에 관한 연구』(송찬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3)
『역주경국대전』-주석편-(한우근 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철의 역사』(국립청주박물관, 1997)
『변진과 가야의 철』(東湖, 가야연학술총서, 1995)
주석
주1

‘슴베’의 옛말. 슴베는 손잡이 속에 들어간 부분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석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