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되
과학기술
개념
곡식이나 액체, 가루 같은 물질의 분량을 가늠하기 위하여 제정된 양제 단위명 또는 그런 일에 쓰이는 기준용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곡식이나 액체, 가루 같은 물질의 분량을 가늠하기 위하여 제정된 양제 단위명 또는 그런 일에 쓰이는 기준용기.
내용

승(升)으로도 표기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이미 이러한 도량형 제도가 제정되어 이용되어왔음이 밝혀지고 있다.

중국 상고 때의 제도를 보면, 선사시대인들은 장년남자의 두 손을 모아 거기에 담기는 곡물량을 1승이라 하였는데, 이것을 1국(掬)이라고도 하였다. 이 분량을 부피의 기준량으로 하고, 그것의 10배를 1두(斗), 100배를 1석(石)이라 하였다. 당시 1되의 용적은 313.6㎤ 정도였으며, 그 양기(量器)의 용적은 길이가 약 23.235㎝인 양기척(量器尺)으로 25입방촌(立方寸)이 되어 있었다.

이러한 표준량이 춘추전국시대 제(齊)나라에서 100:64의 비율로 양제개혁(量制改革)이 되어 1승 양은 205.5㎤로 되었는데, 이 제도를 진(秦)나라의 상앙(商鞅)이 도입하여 시황을 거쳐 한나라의 표준 1승 용적이 되었다. 그러나 남북조(南北朝) 때 1승 양은 크게 늘어나 당나라 때는 한나라 1승 양의 3배로 변해졌다.

우리나라도 상고 때는 장년 농부의 양손을 모아 담긴 양을 1되 또는 1승이라 하였다. 그 뒤 1되의 양은 198.8㎤로 개혁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고 때 1되는 약 300㎤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표준량 제도는 신라 문무왕 21년(681)에 당나라 제도에 따라 3배량으로 개혁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어 이때부터 1되는 596.4㎤가 되어 고려 문종 때까지 전하여진다.

고려의 문종은 1052년 종래의 단일량제(單一量制)를 개혁하여 4종의 제가이량기제도(齊價異量器制度)로 개혁하였는데, 이 때 구1승 양은 미곡용(米穀用) 1승으로 하고, 나머지 3종의 되의 용적은 미곡승:대소두승:말장승:비조곡승의 비율이 1.00:0.750:1.555:1.765가 되게 바뀌었다.

이것이 다시 1446년(세종 28)에는 단일량기제도로 바뀌면서 1되의 용적은 옛 1되인 596.4㎤가 되었다. 이러한 1되 양의 작은 변화는 계속되었으나 큰 변화는 없었는데, 1902년에 일본의 1승 양이 쓰이고부터는 우리의 옛 전통의 1승 용적표준은 없어졌다. 현재는 미터법으로 약 2ℓ(1.8039ℓ)를 1되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이조척도표준에 관한 고찰」(박흥수,『도와 인간과학』 이동식선생화갑기념논문집, 1981)
「중국상고 때 도량형제도에 관하여」(박흥수,『대동문화연구』12, 1977)
「신라 및 고려 때의 양제도와 양척에 관하여」(박흥수,『학술원논문집』제11집, 197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