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암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전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전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9년 전형의 후손 전영기(全永岐)와 전종성(全鍾性)이 편집 ·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녕(李彙寧)의 서문과 권말에 조긍섭(曺兢燮)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 · 2에 시 30수, 소 1편, 제문 1편, 잡저 2편, 해사일기(海槎日記) 1편, 권3에 부록으로 투증시십(投贈詩什) 20수, 지구서독(知舊書牘) 7편, 서발(序跋) 5편, 제명첩(題名帖) 1편, 만장 15수, 제문 8편, 행장 1편, 묘갈명 1편, 묘지명 1편, 봉안문 1편, 축문 1편, 청작시소(請爵諡疏)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청아하며 고답적이어서 당송의 시풍을 모방하고 있다. 「수도사(修道寺)」 · 「혼천동(昏川洞)」 · 「소요대(逍遙臺)」 · 「조림원(照林院)」 등에서는 주위의 경관을 웅장하면서도 짜임새 있게 잘 부각시키고 있다. 「정부(征夫)」 2수는 정부의 애절한 소망을 나타낸 글이다.

「이천덕곡양서원청액소(伊川德谷兩書院請額疏)」는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을 봉안한 이천서원과 이황(李滉)을 봉안한 덕곡서원에 대하여 사액을 청한 글이다. 이미 문묘에 제향된 선현들이므로 학덕이나 공적을 거론할 필요도 없으므로 이제 사림의 근원이 되는 두 서원의 건립에 즈음하여 사액을 내려줄 것을 청한 것이다.

「통독입의(通讀立議)」는 독서하는 규정을 정하자는 건의로, 선비들이 글을 읽는 습관이 없다고 지적하면서 규정을 만들어 선비들은 학문을 연구하고 어린이들은 글을 읽는 습관을 기르자고 주장하였다. 「해사일기」는 1636년(인조 14) 9월 25일 서울을 떠나 11월 9일 일본 대판(大阪)에 도착할 때까지의 사연을 기록한 일기인데 그 이후의 것은 일실되고 없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