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노래

목차
관련 정보
예천 통명농요
예천 통명농요
국악
개념
들에서 일을 하며 부르는 소리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목차
정의
들에서 일을 하며 부르는 소리를 총칭하는 국악용어.
내용

특히 논이 많은 호남평야나 전라도지방에서 통칭되는 말이다. 이제까지 채집된 것으로는 전라도 일대의 <진도들노래>·<옥구들노래>·<함평들노래>·<나주들노래> 등과 경상도 일대의 <예천 통명농요>·<고성농요> 등이 있다.

농사과정에 따라서 모뜨(찌)는소리·자진모뜨는소리·못소리(모심기소리)·자진못소리·논매기소리(절로소리 혹은 절사소리)·중절로소리·자진절로소리·질꼬냉이(혹은 장원질소리) 등으로 불리고 있다.

봄철이 되면 논을 갈고 못자리에 모가 자라면 모를 뜨면서(찌면서) 초성(목청)이 좋은 선소리꾼이 길고 구성진 가락을 뽑으면 여러 사람이 제창(齊唱)으로 후렴구를 받아넘긴다. 모를 다 찐 뒤 논에 흩어 놓으면 수십 명이 꽹과리·장구·북·징 등 풍물(혹은 풍장·매구)을 치면서 나와 일렬로 서서 모를 심고, 북잡이는 왔다갔다 하면서 북을 치면서 소리를 하는데, 지방에 따라서는 ‘못방구소리’라고도 한다.

못방구가 중모리장단을 치는 가운데 일꾼들은 모심기소리를 부르며 모를 심는다. 이 모심기소리를 지방에 따라서는 ‘상사소리’ 또는 ‘사대소리’라고도 한다. 그 소리가 끝나면 ‘이후-후후후-’ 혹은 ‘에후 고로롱’ 하며 입타령 비슷한 소리를 외친다.

모심기가 끝나고 벼가 자라면 벼와 함께 자란 잡초를 뽑아내는 김매기(논매기)가 시작되며 초벌(아시)·두벌(이듬)·세벌(만두레) 등으로 나누어 김을 매게 된다.

농민들은 ‘두레’라고 하는 공동작업형태를 이루어 집단 영농을 하는데, 이 두레에는 꽹과리·징·장구·북 등의 사물(농악기)을 장만하고, 농기(農旗)를 논두렁에 꽂고 김을 매게 된다.

이 김매기소리는 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북도 등지에서는 방아타령으로, 전라남도 일대에서는 절로소리·절사소리 등으로 부르는데, 그 사설이나 가락이 각각 다르다.

전라남도지방에서는 논매기가 다 끝나면 그 해 열심히 농사를 잘 지은 머슴을 뽑아 장원상(壯元賞)으로 소를 한 필 주고, 그 소 위에 머슴을 태운 뒤 풍장을 치면서 마을로 돌아오면서 질꾸내기(길군악)를 부른다. →농요

참고문헌

『한국의 민속예술』(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8)
「민요」(권오성, 『월간문화재』 124, 월간문화재사, 1982.1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