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1책. 목판본. 1662년(현종 3) 손자 정위(挺緯)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민구(李敏求)의 서문과 권말에 오준(吳竣)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179수, 권 4에 표(表) 1편, 전(箋) 4편, 옥책문(玉冊文) 1편, 교서(敎書) 1편, 권5에 소(疏)·차(箚)·지문(誌文) 각 5편, 행장 2편, 발(跋) 2편, 설(說) 2편, 상량문 3편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연보와 아들 정(靖)의 시 16수가 첨부되어 있다.
시는 임진왜란을 비롯해 광해난정 등 격변기의 시대상을 반영해 시운이 강개하고 우국충정이 각 시편마다 배어 있다. 형식에서도 오언율시·칠언절구·칠언율시·칠언배율·칠언고시 등 매우 다양하다.
차 가운데 「청개정복제차(請改定服制箚)」는 왕실에서 논정한 선조비 의인왕후(懿仁王后)의 복제가 정례와 차이가 있음을 지적해 정례에 맞게 고칠 것을 건의한 것이다. 복제문제를 둘러싼 당시의 정세를 엿볼 수 있다.
「회재선생무극태극변발(晦齋先生無極太極辨跋)」은 이언적(李彦迪)의 「무극태극변」에 대한 발문이다. 복희(伏羲)·문왕(文王)·공자·주돈이(周敦頤)·주자 등 고대 성현이 전한 심법(心法)과 묵계된 것이 곧 「무극태극변」임을 강조하고, 이언적의 학문의 깊이에 대해 극찬하고 있다.
설 가운데 「증단질권학설(贈端姪勸學說)」은 조카 단(端)에게 학문을 권한 글이다. 형산(荊山)의 미옥(美玉)도 쪼지 않으면 그 아름다움을 볼 수 없고 당계(棠谿)의 이검(利劍)도 갈지 않으면 그 예리함을 볼 수 없듯이, 아무리 수려한 용모(容貌)와 청산유수(靑山流水) 같은 언사(言辭), 군자(君子) 같은 행동거지, 높고 깊은 지취(志趣)가 있는 사람일지라도 배움에 힘쓰지 않으면 한낱 용우(庸愚)에 지나지 않는다고 면학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