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포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안유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안유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8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885년(고종 22) 그의 손자 희원(禧遠)과 족손(族孫) 호원(鎬遠)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이재영(李在永)·이종기(李種杞)·희원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수, 권2·3에 서(書) 78편, 권4·5에 잡저 5편, 서(序) 1편, 기(記) 2편, 상량문 1편, 축문 1편, 제문 18편, 묘갈문 2편, 묘지명 1편, 행장 1편, 권6에 부록 10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기의 「단연정기(亶然亭記)」에서는 한 집안의 화락(和樂)은 우애에서 나온다 하여 형제 사이의 우애를 역설하였다. 시의 「단연정야경(亶然亭夜景)」 2수에는 세도(世道)를 개탄하고 형제를 그리는 정의가 묘사되어 있다.

잡저의 「교당강회시통유일향문(校堂講會時通諭一鄕文)」은 한 고을의 치(治)의 여부는 물론, 인재가 배출되고 문물이 흥기하는 것은 학교에 있다고 하여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생의 선발기준을 엄하게 하여 품격을 높일 것과 지도의 방향 등을 설명하여 학문을 권장한 글이다.

이밖에도 향약의 시행방법과 시행효과를 설한 「향약시사약정단(鄕約時辭約正單)」과 손자인 태석(台錫)의 복을 빈 「태악기도문(台嶽祈禱文)」이 있다. 이 기도문은 선비사회에 행해진 신앙의 일부를 알 수 있는 것으로 민속연구의 자료가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