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회집·탄옹문집 판목 (· )

목차
관련 정보
만회집 탄옹문집 판목
만회집 탄옹문집 판목
출판
유물
문화재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 1570~1622)와 그의 아들 권시(權諰, 1604~167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권득기(權得己, 1570~1622)와 그의 아들 권시(權諰, 1604~167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
개설

1989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목판은 모두 610매로, 권득기의 『만회집』 목판은 328판, 권시의 『탄옹집』 목판은 282판이다.

내용

『만회집』의 목판은 1635년(인조 13)과 1712년(숙종 38)에 제작한 것으로 판목 양면에 각자(刻字)하였으나 5판은 한쪽 면에만 새겼다. 아들 권시와 증손자 권이진(權以鎭)이 편찬하였으며, 내용은 시·명(銘)·잡저(雜著)·지(誌)·행장·서(書)·습유(拾遺)·부록·전책(殿策) 등과 「만회집잠의(晩悔集箴疑)」의 제목으로 『논어』·『근사록(近思錄)』·『맹자』·『가례(家禮)』의 의례에 관한 의견을 수록하였다.

『탄옹집』은 1738년(영조 14)에 아들 권기(權愭)·권유(權惟), 사위 윤증(尹拯), 손자 권이진 등이 제작한 것으로, 내용은 시·소(疏)·수의(收議)·경연강의(經筵講義)·서(書)·잡(雜)·한거화설(閑居華舌)·제문·묘갈명·부록 등으로 되어 있다.

이 판목은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소재해 있는 도산서원에서 보관해 오다가, 1987년 현재의 위치에 ‘숭모각(崇慕閣)’이라는 이름의 장판고(藏板庫)를 신축하여 보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권시는 송시열과 같은 기호학파로서 예론에 밝았는데, 그의 문집 판목에는 예학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어서 사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대전광역시, 199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효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