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말
과학기술
개념
곡식 · 액체 · 가루 종류의 물질의 분량을 측정하는 그릇 및 양제단위(量制單位). 두(斗).
이칭
이칭
두(斗)
목차
정의
곡식 · 액체 · 가루 종류의 물질의 분량을 측정하는 그릇 및 양제단위(量制單位). 두(斗).
내용

두(斗)라고도 한다. 그 부피는 한 되 양의 정확히 10배 양이 되게 정해진 십진법 단위량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곡식량의 실용단위는 섬 또는 석(石)으로서, 1석은 15말[斗]로 되어 있어 석은 십진법을 사용하여 정해진 단위는 아니다. 그러나 곡물을 계량할 때는 언제나 말을 사용하였으며, 또는 말로써 계량할 수 없는 적은 분량일 경우에는 되가 쓰였다.

상고 때부터 고려 문종 때까지는 단일량제도(單一量制度)로, 한 종류만의 말이 있었으나, 고려 문종이 제가이량기제도(齊價異量器制度)로 개혁한 이후에는 네 종류로 나뉘었다. 그 용적률은 대략 미곡용말:대·소두말:말장말:비조곡말=1.000:0.750:1.555:1.765이다. 단, 이 네 종류의 말 가운데 대·소두용 말의 용적은, 다른 한 말 값의 절반 값이 되는 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고려의 문종이 차등수조법(差等收租法)을 동과수조법(同科收租法)으로 개혁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제도는 1446년에 다시 단일양기제도(單一量器制度)로 개혁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세종 때 개혁된 한 말은 고려 문종 때 재가이량기제도 때의 미곡말[米穀斗] 한 말과 같게 하였다. 이때 고려 문종 때의 말과 같이 양기를 입방체가 되게끔 개혁하지 않고 길이 7.00치, 너비 7.00치, 깊이 4.00치로 하는 196입방촌이 되도록 만든 것은 양기척(量器尺)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임진왜란 이후부터 개량법이 평두(平斗) 대신 고봉두(高峰斗)의 악습이 통용되자 말의 형태를 저광협구(底廣狹口)로 만들기도 하였다. 1902년에 도량형개혁에서 일본 양제도로 바뀌게 되자, 관습에 따라 우리나라 말이 사사로이 통용되어 5승두를 우리 말에 대신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를 대두·소두라 하며 되에도 큰되, 5홉들이 되가 사용되었다.

세종 때 한 말은 5,964㎤, 일본의 한 말은 18,039㎤였다. 현재는 미터법이 실시되어 20ℓ를 한 말로 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이조척도표준(李朝尺度標準)에 관한 고찰(考察)」(박흥수, 『소암이동식선생화갑기념논문집』, 1981)
「신라(新羅) 및 고려(高麗) 때의 양제도(量制度)와 양척(量尺)에 관하여」(박흥수, 『과학기술연구』,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박흥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