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잠비크 (Mozambique)

목차
관련 정보
모잠비크의 국기
모잠비크의 국기
외교
지명/국가
아프리카 대륙 동남부에 있는 공화국.
이칭
이칭
모잠비크 공화국, Republic of Mozambique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아프리카 대륙 동남부에 있는 공화국.
개관

정식 명칭은 모잠비크 공화국(Republic of Mozambique)으로, 아프리카의 동남부 인도양 연안에 위치하며, 해안선 길이는 2470㎞에 달한다. 면적은 79만 9380㎢, 인구는 2530만 3113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마푸토(Maputo)이다. 인구 가운데 약 40%가 마쿠알롬웨족(Makualomwe)이며, 기타 통가족(Tonga) · 초피족(Chopi) 등 여러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럽인도 1% 정도 거주하고 있다.

포르투갈어가 공용어이며, 스와힐리어도 사용되고 있다. 종교는 국민의 30%가 기독교, 10%가 이슬람교를 믿고 있으며, 나머지 인구는 토착신앙을 신봉하고 있다.

기후는 전형적인 열대성기후이며, 석탄 · 보크사이트 · 다이아몬드 · 금 등의 주요 광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014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159억 달러이고, 1인당 국민소득은 586달러이다.

현재 임기 5년의 대통령 중심제 공화제를 채택하고 있고, 임기 5년의 단원제(250석) 의회를 가지고 있다. 주요 정당으로는 모잠비크해방전선((FRELIMO), 민족저항운동(RENAMO), 모잠비크자유민주당(PALMO) 등 21개 정당이 있다.

모잠비크 연안부는 일찍부터 아랍인과의 접촉이 있었으나 1498년 포르투갈의 항해자 바스코 다 가마의 내항으로 비로소 유럽에 알려졌다. 이후 1505년 이래 포르투갈 세력하에 들어가고, 19세기 말에는 내륙부에도 포르투갈의 특허회사에 의한 개발이 시작되었다. 1911년에는 한때 자치식민지가 되었으나 1926년에는 포르투갈의 직할 식민지가 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모잠비크해방전선(FRELIMO)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날로 격화되었고, 그 결과 1975년 6월 25일 포르투갈의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하였다.

1972년 2월에 헌법을 제정하였으며, 1990년 11월에 개정한 헌법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과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한 집권당이 공산국가와 유산한 정치체제를 취하여 왔으나, 현재는 다당제적 정치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모잠비크는 독립한 1975년에 유엔과 비동맹회의에 가입하였고, 비동맹국의 일원으로 좌경중립의 외교정책을 펴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모잠비크와 1993년 8월 11일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2008년 현재 주 짐바브웨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교 이전인 1977년 당시 주 가봉 한국대사가 UN이 주관한 ‘짐바브웨 및 나미비아 인민을 지원하기 위한 국제회의’에 참석차 옵서버 자격으로 대표단을 이끌고 모잠비크를 방문한 바가 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우리나라의 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정부의 비동맹 · 제삼세계에 대한 외교강화 방침에 힘입어 모잠비크측에서 1985년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통화기금과 세계은행의 총회에 재무장관 일행이 참석하였고, 이어서 1986년 아시아국가올림픽위원회(ANOC) 서울총회에 참석차 모잠비크 대표가 방한한 바 있다.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대 모잠비크 수출액은 6761만 달러로 주종목은 합성수지 · 승용차 · 의류 등이고, 수입액은 1176만 달러로 유연탄 · 구리 · 잎담배 등이 대부분이었다.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는 13명의 선수단이 참가하였으며, 2007년 현재 모잠비크에는 49명의 우리 교민과 52명의 체류자가 있다.

한편, 북한은 모잠비크의 독립과 동시에 1975년 6월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상주공관을 설치하였으나, 1995년 공관을 철수하고, 2007년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가 그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북한은 모잠비크와 1978년 12월 경제기술 협정을 체결한 이래 1978년 5월 무역 협정, 1980년 9월 항공운수협력 협정, 1981년 11월 군사협력 협정, 1984년 5월에는 체신협조 협정 등을 체결한 바 있다.

참고문헌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아프리카 아프리카』(최평규 편, 국풍, 1983)
『제3세계의 해부』(박상식, 집문당, 1982)
『아프리카정치론』(하경근, 일주각,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