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리 입석 (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무등리 입석 정면
완주 무등리 입석 정면
민간신앙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입석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 민간신앙 관련 선돌.
이칭
이칭
완주제내리입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무등리입석(無登里立石)
분류
유물/기타종교조각/민간신앙조각/석조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73년 06월 23일 지정)
소재지
전북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363-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입석마을에 있는 일제강점기 민간신앙 관련 선돌.
내용

1973년 전라북도 민속자료(현,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당산나무와 함께 마을의 수호신으로 섬겨지고 있다. 거친 화강암으로 지하에 60∼90㎝ 정도가 묻혀 있고 지상높이 2m, 너비 1.5m, 두께 30㎝의 규모이다.

한 면에는 인공을 가하여 다듬고 ‘불암 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佛巖 南無阿彌陀佛觀世音菩薩)’이라는 글씨를 새겨 놓았다. 그 옆에 ‘하원갑자삼월시주심상기(下元甲子三月施主沈相基)’라고 적혀 있는 명문 가운데 ‘하원갑자’란 1924년에 해당하는 연대를 일본연호를 기피해서 그렇게 적은 것으로 보인다.

마을에 궂은 일이 있을 때에는 이 입석에 금줄을 치고 제사하는 풍습이 있었으며, 함부로 손을 대거나 옮겨서 이 입석을 훼손하면 벼락을 맞는다고 해서 금기로 삼아왔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下(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79)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전라북도편(全羅北道篇)-(문화재관리국, 1979)
『전주·완주지역문화재조사보고서(全州·完州地域文化財調査報告書)』(전북대학교박물관,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