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조선 ()

목차
불교
개념
간화선에 대응해 중국 조동종의 굉지가 주창한 묵묵히 말을 잊고 본성을 관찰하는 방식의 불교수행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간화선에 대응해 중국 조동종의 굉지가 주창한 묵묵히 말을 잊고 본성을 관찰하는 방식의 불교수행법.
내용

중국 조동종(曹洞宗)의 굉지(宏智)가 주창한 간화선(看話禪)에 대응되는 대표적인 선법이다. 묵묵히 말을 잊고 본성을 관찰하면 밝은 본성이 저절로 묘한 작용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다.

곧 마음의 본바탕은 원래부터 뚜렷이 밝고 지극히 신령한 것이지만, 잡된 번뇌로 말미암아 그 본성이 가려져 있는 상태이므로, 번뇌를 쉬고 묵묵히 관찰하면 저절로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서 신령한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굉지와 같은 시대에 간화선을 주창했던 대혜(大慧)는 묵조선을 검은 산 밑에 있는 귀신의 굴로 빠져들게 하는 선법이라고 하면서 혹평을 하였다.

대혜의 뒤를 이은 간화선파에서는 이를 사구선(死句禪:화두가 없는 선수행법)이라고 규정지었다. 그러나 굉지는 이와 같은 시비에 휩싸이지 않고 평생 동안 묵조선으로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 중기 지눌(知訥)이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창하면서 묵조선법을 간접적으로 인용하였다. 정혜쌍수의 ‘정’은 고요하고도 묵묵히 마음을 가다듬는다는 뜻이 있고, ‘혜’는 고요한 마음에서 저절로 밝게 비추어 보니 지혜를 뜻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혜쌍수는 묵조선과 일치된 입장을 지닌 것이다.

나아가서 지눌은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의 수행법을 제시하였는데,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다른 번뇌망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적적(寂寂)과, 그 고요한 마음으로 만물을 밝게 비추어 보는 성성(惺惺)이 함께 갖추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성적등지문 또한 묵조선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많다.

지눌 이후 고려 말의 선승 경한(景閑)이 묵조선 계통의 무심선(無心禪)을 주창하여 많은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묵조선보다 간화선 계통의 수행법을 많이 취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수정혜결사문(勸修定慧結社文)』(지눌)
『묵조명(默照銘)』(굉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