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기언 책판 ( )

목차
관련 정보
미수기언 별집 권1 책판
미수기언 별집 권1 책판
출판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의 문신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인 『미수기언(眉叟記言)』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인 『미수기언(眉叟記言)』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내용

『미수기언』은 『기언』으로도 불리는데, 원집 67권, 별집 26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집은 허목이 스스로 편찬한 것이고, 별집은 그가 죽은 후에 그의 문인들이 만든 것이다.

이 문집은 1689년(숙종 15) 왕명에 의해서 전라도 나주 미천서원(眉泉書院)에서 처음 간행되었고, 그 후 1905년 의령(宜寧)에 사는 허찬이 중심이 되어 향토 사림의 도움으로 이의정(二宜亭)에서 중간하였다. 목판으로 간행되기 이전에, 허목의 유작은 당시 승지와 황해감사를 지낸 칠와(柒窩) 권수(權脩)에 의해 허목 선생이 돌아가신지 2년 뒤인 1684년(숙종 10)에 『미수집』10권으로 필사된 바 있는데, 이 필사한 내용은 대부분 『미수기언』에 포함되어 있다.

이 책이 의령에서 중간될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허목이 병자호란 때 의령에 피난한 이래 줄곧 연고를 맺고 있었고, 둘째 이웃 산청에서는 허전(許傳, 1797~1886)의 『성재문집(性齋文集)』을 간행하였고 진주 사림들은 『주자어류(朱子語類)』 50책을 간행하는 등 선현들의 저술 간행 열의가 팽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동기는 1881년(고종 18)에 이 지방에 사는 이석홍(李錫弘)이 그의 스승인 허전의 권유로 허목이 지은 『경례유찬(經禮類纂)』을 간행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하여 1901년에 허목이 병자호란을 피해 은거하며 살았던 의령 대의면 모의(慕義)에 이의정을 지었고, 이어 1905년에 『미수기언』을 중간하였다. 그 뒤 1920년 그 자리에 영정을 모시고 춘추로 향사를 지낼 사우인 숭정사(崇正祠)와 책판을 보관할 장판각을 지었다.

『미수기언』 책판은 모두 869매로,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중촌리 양천허씨 문중 이의정에 소장되어 있고, 1979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허목이 남긴 유작은 매우 많은 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만년에 서실에 화재가 발생하여 상당량이 산실(散失)되고, 남은 작품이 대부분 이 『미수기언』 책판에 수록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이 책판은 미수의 사상과 학문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경남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미수의 유작에 관한 서지적 고찰」(양태진, 『정신문화연구』16, 1993)
『기언(記言)』(許穆, 한국고전번역원, 『韓國文集叢刊』, 2013)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김효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