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이 우리나라 곡물음식의 원초형으로 여겨지고 있으므로, 조리법이 비슷한 미음의 역사도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문헌으로는 1800년경에 나타나고 있다.
『군학회등(群學會騰)』에는 미음제품이라 하여 좁쌀[粟米]·멥쌀[粳米]·찹쌀[糯米]·생동쌀[靑梁米]·기장쌀[黍米]·녹두(菉豆)·메밀[蕎麥]·대추[大棗] 등이 기록되어 있다. 또,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의 미음상에 나오는 것으로는 대추미음·백감미음(白甘米飮)·백미음(白米飮)·생동쌀미음(푸른조미음)·가을보리미음[秋麰米飮]·삼합미음[蔘蛤]·메조미음[黃梁] 등이 있다.
만드는 법은 멥쌀·메조 등에 10배 정도의 물을 붓고 낟알이 풀어지게 고아 겹체로 밭친다. 많은 분량의 밥을 지을 때 밥물을 많이 부어 한창 끓을 때 그 일부를 떠내어 밭쳐서 쓰기도 하는데, 환자를 비롯하여 모유가 부족할 때 이렇게 만든 미음을 아기에게 먹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