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타참절요 ()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명연이 염불신앙을 권장하기 위하여 찬술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승려 명연이 염불신앙을 권장하기 위하여 찬술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개설

1권 1책. 목판본. 아미타불을 염송(念誦)하고 참회하여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글이다. 『염불보권문 念佛普勸文』·『미타참약초 彌陀懺略抄』라고도 한다. 권수에 명연의 서(序)가 있고, 권말에는 정원(淨源)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이 책의 대표적인 판본으로는 1704년(숙종 30) 경상북도 예천용문사(龍門寺)에서 개간한 것과 1776년(영조 52) 합천 해인사(海印寺)에서 중간한 것이 있는데, 편제 및 수록 범위에는 일부 차이가 있다.

이 책은 1954년 경북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연구자료집으로 영인, 간행하였으며, 용문사개판본은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해인사중간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용문사본에서는 먼저 중국 사명(四明) 진씨의 아들 종본(宗本)이 15세에 형의 죽음을 보고 느낀 바 있어서 출가한 뒤 염불을 통하여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법을 닦았다는 설화를 원문과 함께 한글로 번역하여 수록하였다.

다음에는 시방(十方)의 여러 부처가 아미타불만 같지 않고, 다른 부처를 염불함이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것에 미치지 못할 뿐 아니라 다른 부처의 세계가 극락에 비교가 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한 구품왕생(九品往生)의 인연에 대해서는 반드시 믿는 데서 이익이 있으므로 세상의 이익을 탐하여 믿지 않는 자는 염불의 큰 이익을 잃게 된다는 등의 글을 수록하였다. 그리고 「여동빈오도송 呂洞賓悟道頌」·「백낙천송 白樂天頌」·「송무진거사송 宋無盡居士頌」 등을 수록하였다.

그런데 해인사중간본에는 「송무진거사송」에 이어서 「한산시 寒山詩」 등 중국의 것 4편과 함께 고려 말 나옹(懶翁)의 「서왕가 西往歌」와 조선 중기 휴정(休靜)의 「염불송 念佛頌」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용문사판본에는 「송무진거사송」에 이어서 염불하여 정토에 왕생한 10인의 전기를 한글로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본론에 해당하는 염불작법절차(念佛作法節次)를 수록하고 있다.

그 순서로는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개경게(開經偈)·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참회게(懺悔偈)·미타찬(彌陀讚) 등의 장엄염불(莊嚴念佛)·회향게(廻向偈)·왕생발원(往生發願) 등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다.

또 왕생게(往生偈)와 아미타불의 본심미묘진언(本心微妙眞言)·준제진언(准提眞言)·사성례(四聖禮)와 「왕랑반혼전 王郎返魂傳」을 수록하고, 『유마경 維摩經』의 금남초설(禁南草說)을 인용하였다. 남초는 담배를 말하는 것으로 염불수행인이 담배를 피우는 것은 곧 독사를 태워 먹는 것과 같다고 하면서 경계하였다.

해인사본에서는 이상의 내용에 여래십대발원문(如來十大發願文)·인과문(因果文)·능엄주(楞嚴呪)와 염불 법문의 내력을 밝힌 유전기(流轉記)·임종정념결(臨終正念訣)·부모효양문(父母孝養文)·회심곡 등을 한글로 수록하였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