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언해 / ㅂ부분
훈민정음언해 / ㅂ부분
언어·문자
개념
한글 자음에서 여섯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비읍.
이칭
이칭
비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글 자음에서 여섯 번째로 등장하는 글자. 비읍.
내용

‘비읍’이라 읽는다. 국어의 자음 가운데 목젖으로 콧길을 막고 위·아랫입술로 입을 다물었다가 떼면서 날숨을 내뿜어 내는 무성무기양순파열음(無聲無氣兩脣破裂音)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훈민정음 창제 때는 같은 순음(脣音)에 속하는 ‘ㅂ·ㅍ·ㅁ’ 가운데서 ‘ㅁ’이 나타내는 음이 가장 약하다[不厲]고 하여 ㅁ자를 순음자의 기본글자로 삼고, 이보다 소리가 세게[厲] 난다고 하여 ㅁ자에 획을 더하여 ㅂ자를 만들었다.

『훈민정음』(해례본)에서는 “ㅂ은 입술소리니 별(彆)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ㅂ脣音如彆字初發聲). ”라고 설명하고, 『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ㅂᄂᆞᆫ 입시울쏘리니 彆○字ᄍᆞᆼ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ᄀᆞᄐᆞ니.”라고 하여 ‘彆’자의 한자음을 가지고 ‘ㅂ’자의 음가를 설명하였다.

『훈민정음』(해례본)의 제자해에서는 ‘ㅂ’음을 순음의 전청(全淸)에 소속시켜 ‘ㅂ’음의 음가가 무성무기양순파열음임을 보였다.

이 글자의 이름은 한글 자모의 이름을 처음으로 보인 『훈몽자회』 범례의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란에 ‘ㅂ 非邑’이라고 나온 이후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에서 ‘비읍’으로 정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자모의 순서는 훈민정음 창제 때 아·설·순·치·후음과 같이 조음위치별로 하여 ‘ㄱ’자로부터 아홉번째였으나, 『훈몽자회』 범례의 ‘초성종성통용팔자’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과 같이 여섯번째가 된 이후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ㅂ’자는 국어에서 초성과 종성의 표기에 쓰이었을 뿐만 아니라,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문헌에서는 사잇소리로도 쓰이어, 아랫말의 첫소리가 무성음이고 윗말의 발음이 ‘ㅁ’인 경우에 그 사이에 ‘ㅂ’음이 들어갔다.

‘侵침ㅂ字ᄍᆞᆼ’, ‘ 覃땀 ㅂ字ᄍᆞᆼ’(이상 훈민정음 국역본), ‘사○ᄠᅳ디’’(용비어천가 15장)와 같으며, 이 음이 종성으로 쓰일 경우에는 다물었던 입술이 열리지 않고 내파음상태로 끝나고 마는 것도 국어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참고문헌

『훈민정음』(해례본)
『훈민정음』(국역본)
『훈몽자회(訓蒙字會)』
『국어학사』(강신항, 보성문화사, 1979)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4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