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안베

목차
의생활
물품
매우 섬세한 삼베의 하나.
이칭
이칭
북포, 발내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매우 섬세한 삼베의 하나.
내용

조선시대 함경도 육진(六鎭) 지방에서 생산되던 삼베로 북포(北布)라고도 한다. 우리 나라에서 나는 포 가운데 가장 좋다고 하였으며, 한 필이 밥그릇 하나에 다 들어갈 만큼 곱게 짜여졌다 하여 발내포(鉢內布)라고도 하였다.

즉,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에 “조선에서는 삼베가 나는데 함경도 육진의 마포가 가장 우수하니 북포라고 말한다. 가장 가는 것은 한 필을 한 개의 바리안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속칭 발내포라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서기전 3,000∼2,000년의 신석기유적인 궁산패총(弓山貝塚)에서 골침(骨針)에 마사(麻絲)가 감긴 것이 출토되어 일찍이 마사를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삼한시대에는 마포가 일반적으로 제직된 것이『삼국지』 등에 나타나 있다.

예로부터 마포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섬세하게 제직하였으며, 또 가장 섬세한 마포를 의료로 사용하였다. 세마포는 고려시대에 특히 중국지역으로 많이 수출되었다.

승수(升數)가 명시된 것으로서는 20승이 있다. 오늘날에는 12승의 극세포를 경상북도 안동지역에서 제직하고 있다. 베 한필이 바리안에 들 정도라면 적어도 30승 이상은 되는 극세포일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조사보고서(韓國民俗調査報告書)』22-직물공예편(織物工藝篇)-(문화재관리국, 199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