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계집 판목 ( )

목차
관련 정보
박노계집 판목
박노계집 판목
출판
유물
문화재
조선 중기의 문인 박인로(朴仁老, 1561~164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문인 박인로(朴仁老, 1561~1642)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목판.
내용

『노계집』은 노계의 현손 박성규(朴成規)에 의해 1707년(숙종 33) 쯤에 초고본(草稿本)이 이루어졌고, 1831년(순조 31)에 3권 2책의 초간(初刊)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후 3차에 걸쳐 보각(補刻)·증보(增補)가 이루어졌다. 1차 보각은 노계의 10대손 박용진(朴容鎭)이 사망한 1900년 이전에 이루어졌으며, 이 때는 세계도(世係圖)와 권2의 속부(續附)가 보각되었다. 2차 보각은 1904년 권2의 끝에 도산가(陶山歌)를 추가하였고, 3차 보각은 노계의 11대 종손 박수문(朴洙文)이 원판 중 훼손된 판목을 개각하고, 새로 발견된 전(傳)노계 작품을 추가하여 1960년에 완료하였다. 즉 노계집 판목은 초간에다 보각을 하였을 뿐 중간(重刊)이나 복각(覆刻) 된 적은 없다.

3권 중 1·2권은 한시문(漢詩文)이며, 3권은 한글의 가사(歌辭)·시조(時調)이다. 여기에는 가사문학 7편과 시조 67수(首)가 수록되어 있다. 권1·2는 서(序) 4매, 세계(世系) 4매, 도설(圖說) 3매, 본문 42매, 발문(跋文) 6매이며, 권3은 가사·시조 35매, 후서(後序) 2매이다.

박인로는 영천(永川) 출신으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정세아(鄭世雅)의 휘하에서 별시위(別侍衛)로 전공을 세웠고, 이어 수군절도사 성윤문(成允文)에게 발탁되어 사졸(士卒)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 「태평시(太平詩)」·「선상탄(船上嘆)」을 지었는데, 이는 전쟁문학가사 중 뛰어난 작품이다. 뒤에 선전관(宣傳官)·만호(萬戶)를 지내고 귀향하여 도학(道學)을 닦으며 나라와 자연을 사랑하는 내용의 가사와 시조를 남겼다.

이 목판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에 거주하는 노계의 종손인 박병일(朴秉一)이 소장하고 있고, 197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목판은 모두 99매이다.

의의와 평가

박노계집목판은 노계집 고사본(古寫本, 2권1책, 38장, 22×20㎝, 박병일 소장)과 비교의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고사본에는 노계가 지은 시문과 부록, 가사가 수록되어 있는데, 목판본에 없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노계집(蘆溪集)』
『영양사난창의록(永陽四難倡義錄)』
『지산문집(芝山文集)』
『한음연보(漢蔭年譜)』
『삼휴일고(三休逸稿)』
「노계집 고사본의 고찰」(김문기, 『동양문화연구』7, 1980)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효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