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토포사, 충청도방어사,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608년(광해군 즉위년)
본관
죽산(竹山, 지금의 경기도 안성)
주요 관직
토포사|충청도방어사|전라도병마절도사
관련 사건
임진왜란|정유재란|이몽학의 반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토포사, 충청도방어사, 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박명현(朴命賢)으로 쓰기도 하였다. 본관은 죽산(竹山).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박원형(朴元亨)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합격하여 무장이 되었다. 1596년(선조 29) 임진왜란 중 이몽학(李夢學)이 충청도 홍산에서 반란을 일으켜 여러 고을을 함락하고 홍성으로 진격하자, 그 근처에서 군사활동을 벌이다가 병력을 거느리고 홍주성으로 들어가 목사 홍가신(洪可臣)과 협력하고 성 밖의 군사들과 연락하여 내외협공의 태세를 취하였다.

이몽학이 포위망을 뚫고 달아나자 무장 임득의(林得義)와 함께 청양까지 추격하여 반란을 평정하였다. 이듬해 정유재란 때 토포사·충청도방어사·전라도병마절도사 등을 지내면서 호서·호남 일대에서 전공을 세웠다.

1605년 이몽학의 반란을 평정한 공으로 홍가신·임득의 등과 함께 청난공신(淸難功臣) 2등에 녹훈되고, 연창군(延昌君)에 봉하여졌으며 위계는 가선대부에 이르렀다.

1608년 선조가 죽자 무장 고언백(高彦伯)과 함께 임해군(臨海君)을 추대하려다가 잡혀 문초를 받던 중 물고(物故: 사회적으로 이름난 사람이 죽음)되었고, 공신녹권에도 삭제되었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난중잡록(亂中雜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