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광양현감, 밀양부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온(仲溫)
인재(認齋), 눌재(訥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94년(성종 25)
사망 연도
1550년(명종 5)
본관
상주(尙州)
주요 관직
광양현감|밀양부사|강원도관찰사
관련 사건
기묘사화
정의
조선 전기에, 광양현감, 밀양부사, 강원도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중온(仲溫), 호는 인재(認齋) 또는 눌재(訥齋). 박안의(朴安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박미창(朴美昌)이고, 아버지는 군자감부정 박사화(朴士華)이며, 어머니는 신복담(辛福聃)의 딸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16년(중종 11) 진사가 되고, 1519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기묘사화로 사림이 일소되자 우울한 나날을 보내다가 성균관전적에 등용되고, 1522년 박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파직되었다. 1527년 다시 박사로 복직되어 전적을 지내고 사헌부감찰로 승진되었다.

이듬해 광양현감이 되어 해상의 방위에 전념하고, 공자의 묘가 허술한 것을 보고 터를 닦아 묘우를 옮겨지었다. 1533년 수부원외랑(水部員外郎)이 되고 곧 이조좌랑으로 옮겼으나, 김안로(金安老)의 청혼을 거절한 것이 원인이 되어 미움을 사게 되었다.

1535년에 공조좌랑, 이듬해 장악원첨정이 되었으나, 간관의 탄핵으로 문외출송을 당하였다. 그 뒤 다시 복직되어 홍문관교리와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를 거쳐 종부시(宗簿寺)와 봉상시(奉常寺)의 첨정을 지냈다. 1540년 밀양부사로 특선되어 치적을 올렸고, 1544년 좌필선(左弼善)에 이어 곧 승정원동부승지가 되었다.

1545년(명종 즉위년)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가 되고 하절사(賀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예조참의를 지내고, 1549년 강원도관찰사가 되어 관동지역을 잘 다스렸다. 그러나 이기(李芑)의 연척인 양구현감 신난수(愼蘭秀)의 비행을 적발하여 보고하였다가 도리어 고문을 받고 왕의 특명으로 풀려났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소재집(蘇齋集)』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